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많음
듬뿍
다수
담뿍
d라이브러리
"
잔뜩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생존의 필수요소거든. 물론 초식동물이기에 동물이나 벌레를 잡아먹진 않지만, 가시가
잔뜩
나 있는 거친 식물을 잘 먹을 수 있어. 가리지 않고 잘 먹는 타고난 식성낙타가 사는 곳은 사막이라 물도 부족하지만 먹을 것도 부족해요. 식물이 잘 자랄 수 없는 척박한 땅이기 때문에 사막에 사는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특히 잘 생기는 곳을 미리 짐작해 볼 수는 있어요. 바로 산이 있는 지역! 수증기를
잔뜩
머금은 공기가 움직이다가 산을 만나면 산을 타고 위로 올라가서 비구름이 되거든요.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태백산맥 주변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깜짝 예보올 여름은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원숭이가 야생에서 자라는 머루를 따다 술을 담갔다는 내용은 믿기 어렵지만, 머루를
잔뜩
따다 으깬 뒤 바가지에 넣어 보관하면,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머루주가 탄생한다. 머루를 술로 만든 건 그 껍질에 붙어 있는 발효균이다.물론 포도를 따다 으깬 즙을 와인으로 만드는 것도 발효균이다. ... ...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구절초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있는 산기슭 풀밭에서 자라는데, 매우 향기롭다. 구절초가
잔뜩
피어 있는 풀밭에 가면 왜 구절초로 술을 담거나 차를 끓이는지 깨닫게 된다.동물도 식물과 마찬가지로 함께 있을 때 더욱 아름답다. 황새목의 하나로, 길이가 약 75cm인 커다란 저어새는 5마리 정도가 함께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운반차가 몇 갈래로 갈라진 협궤철로 위에 줄지어 늘어서 있고 옆에는 사탕수수를
잔뜩
실은 트럭들이 대기하고 있다.공장 안으로 들어간 트럭은 후진으로 차를 댄 뒤 사탕수수를 내려놓고 떠난다. 그 옆에는 기차로 운반한 사탕수수가 내려지고 있다. 여기서 쏟아져 내리는 사탕수숫대는 약 5m 아래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넣으면 커지고 안에 들어갔던 물이나 바람을 다시 빼면 원래대로 작아진다. 공기가
잔뜩
들어간 풍선은 안에 들어 있는 기체 덕분에 계속 빵빵한 모습을 유지한다. 풍선 안에 들어간 기체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풍선 벽면에 부딪힌다.기체 분자들이 모든 방향으로 같은 힘을 가하기 때문에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음악과 관련된 전공 서적부터 로봇 공학에 대한 책까지, 심지어 영상학 관련 서적도
잔뜩
있었다. 책 제목만 봐서는 그가 음악가인지 공학도인지 연출가인지 전혀 알 수 없었다. 그가 연구하는 분야는 도대체 무엇일까.이 교수는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해 예술을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물속에서 산소를 얻는 쪽으로 진화했다. 결국 허파는 흔적으로만 남았으며 주름이
잔뜩
진 헐렁거리는 피부로 숨을 쉬면서 몸을 2배가량 빵빵하게 부풀린다. 세상에서 가장 큰 눈을 번뜩이는 대왕오징어, 톱을 닮은 톱가오리, 터진 풍선을 닮은 티티카카 자이언트 개구리 중 누가 가장 괴상하게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암술머리에 꽃가루를 옮기며 식물이 살아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지만 모기에게
잔뜩
뜯기고 귀에서 윙윙대는 소리에 밤새 잠을 설치고 나면 모기란 생명체가 왜 존재하나 화가 나기까지 한다.전문가들은 “모기를 잘만 활용하면 의학적, 과학적인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알찬 것으로 한두 개만 있으면 된다”며 “참여횟수가 눈에 띄게 많거나 자잘한 상들만
잔뜩
낸 경우에는 자기 적성과 관련 없이 ‘사교육으로 만들어진 모범생'이라는 잘못된 이미지를 줄 염려가 있다"고 말했다.실험·연구보고서와 체험기 등의 다양한 포트폴리오대회 참가와 수상 실적 외에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