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소의 ‘메탄방귀’ 줄이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뀌는 방귀는 미국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이다. 최근 미국
연구진
이 이 메탄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발견했다.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동물과학과의 알렉산더 리스토프 교수팀은 홀스타인종 젖소 48마리에게 12주간 3-질소산화프로판올(3NOP)이 든 사료를 먹였다.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액은 수컷의 강력한 무기였다. 미국 우스터대 생물학과 로라 시롯 교수가 이끈
연구진
은 작년 12월 발표한 논문에서 정액 단백질이 오래된 ‘성 갈등(Sexual Conflict)’의 역사를 보여준다고 해석했다(오른쪽 표 참조).암컷은 당하고만 있었나그런데 암컷이 수컷의 공격에 일방적으로 당하고만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극지연구소가 엄격한 과정을 거쳐 선발한 세 명의 청소년과, 한국극지
연구진
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한 제4, 5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에서 특별상을 받은 두 명의 청소년으로 구성됐다.이들의 여정은 다산기지로 향하는 마지막 관문, 노르웨이 롱이어비엔에서 시작됐다. 7월 31일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나 심장질환 위험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호주 시드니대
연구진
도 올들어 같은 내용의 연구를 ‘미국 임상영양학지(AJCN)’에 발표했다.그렇다면 지방 공포증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캐나다 맥마스터대 역사학과의 하비 리벤스테인 명예교수는 ‘음식, 그 두려움의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려요. 그런데 최근 시간이 지나며 분출물이 나오는 방향이 변하는 장면을 우리나라
연구진
이 포함된 국제공동 연구팀에서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분쇄해 펜타쿼크를 발견했다고 보고해 화제가 됐지만 3년 뒤 착오로 밝혀졌다. CERN
연구진
은 이번 발견이 10시그마의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이는 검출된 데이터가 펜타쿼크가 아닐 가능성이 1022 분의 1이라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7월 14일자에 실렸다 ... ...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구와는 다른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지, 표현형에 변화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
은 이번 실험이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뼈·근육 질량 감소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과학동아가 미국으로 날아갔다. 세계적 재난로봇 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 로봇
연구진
의 활약을 두 눈으로 지켜보기 위해서다. 대회는 6월 5~6일 ...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
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이루길 기대해 본다 ... ...
매운 맛, 통증완화제 개발 길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대신해 진통 작용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통증완화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진
은 “이 연구를 통해 캡사이신보다 통각 수용체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네이처 화학생물’ 6월 8일자에 실렸다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한중공동
연구진
은 올해부터 백두산 시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지하 10km 마그마 방 주변부를 7km가량 뚫고 들어가서 백두산 천지의 지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예측 가능해도 피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