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제
엔지니어
들도 동식물을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생물의 뛰어난 능력을 흉내만 내도 멋진 것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생물들은 수천만년에서 수억년의 기나 긴 세월동안 진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환경에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탁월한 특성과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반사된 태양광선이 지구위 특정지점을 비추도록 거울의 위치와 조준점을 정했다.러시아
엔지니어
들은 이번에 실험적으로 가동시킨 조그만 반사기가 직경 약 4.8km에 달하는 면적에 3~5개의 보름달과 동등한 빛을 쪼였다고 말한다.우주거울 실험이 수행되기 직전 NPO에네르기아사의 감독인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름은 구스타프 파티(Gustav's Party). 이런 재미있는 가상 현실을 구성한 사람은 오디오
엔지니어
이자 프로듀서인 피터 윌리엄스인데 그는 음악 비디오 그래픽 컴퓨터프로그램을 결합해 꾸민 가상 록그룹을 이달에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하지만 가상 현실 속에서 즐기게 될 음악만은 컴퓨터가 아닌 ... ...
거미의 생사로 방탄조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생사(生絲)다.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나트릭연구센터(미육군 소속)의 분자생물학자들과
엔지니어
들이 거미의 숨은 능력을 밝혀냈다. 그곳 연구원중 한명인 스티븐 포시는 "케블러섬유는 끊어지기 직전까지 4% 가량 늘어나는데 비해 거미의 생사는 15%까지 신장되기 때문에 총탄의 운동에너지를 훨씬 ... ...
행글라이딩 무료교육 실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회수용으로 델타(삼각형) 모양의 행글라이더를 연구해오다가 60년대 후반 몇몇 스포츠
엔지니어
들이 로갈로의 논문을 발견함으로써 빛을 보게 됐다.행글라이더는 초기의 로갈로 형태에서 점차 고정날개형으로 발전했고 장비와 성능이 꾸준히 개선됐다. 행글라이더를 선택할 때는 디자인이나 성능에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센서 등 일부 부품에서는 성능이 향상된 것을 쓰고 있다고 한다.전기 전자 기계분야의
엔지니어
20명이 동원된 HML-03제작에는 60억원 가까운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선로비용까지 합치면 2백억원). 이번 과정을 통해 개발팀이 노리는 목표는 무엇보다 각종 부품을 하나의 완성품으로 일구어내는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판정시비를 잠재워 줄 '코트의 해결사'가 등장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두
엔지니어
가 만든 이 라인센서(line sensor)에는 TEL(Tennis Electronic Lines)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레이저빔을 이용했던 기존의 라인센서와는 달리 TEL은 전자기에서 원리를 따온 시스템이다. 즉 테니스 공에 철분 5g을 집어넣은 뒤 이 ... ...
하이브리드카를 탄생시킨 현대 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연구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방향조차 모르던 학생들이 첨단
엔지니어
의 꿈을 키운다.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태양전지자동차(솔라카)를 만들고 1인승 경비행기를 만들었다면 이 내용을 잘 아는 전문가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릴 것이다. 솔라카나 경비행기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G7 문턱에 서 있다는 우리나라에서 이제 막 개발을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 구조가 결코 복잡하지 않은 건축물이라는 점을 상기하면서. 아마도 현대의
엔지니어
들은 1만년 이상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건축물을 충분히 세울 수 있을 것이다.또 이 미국판 스톤헨지는 맹목적인 파괴자들 뿐 아니라 소재재활용론자들의 표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과거의 스톤헨지가 걸었던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컴퓨터공학 등에 여학생들의 지원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공장에서는 여성
엔지니어
의 입사를 꺼리는 것 같아요. 여학생들은 훨씬 적극적인데 말입니다."서울대 공대의 유일한 여성교수이며 우리나라 여성공학박사 제1호인 박순자교수(59세, 무기재료공학과)의 말이다.농학 수산학분야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