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점"(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유로 재판에 회부되어 종신형을 선고받는다. 소설의 끝은 투옥 후 7년이 경과한 시점으로, 정사각형은 차원의 진리를 알리기 위해 감옥에서 글을 남기기로 결심하면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지금부터는 조금 어렵다. 그렇다면 4차원 도형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4차원 도형을 구체적으로 눈에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지도 20년이 지난 시점이었기에 팽창 자체는 어느 정도 사실로 받아들여졌지만, 이는 또 다른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지금 팽창하고 있다면,먼 과거로 시간을 거슬러갈 경우 어떻게 될까. 지금보다 작게 쪼그라들지 않을까. 또 똑같은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됩니다. 그러면 관측값의 분포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의 방정식이 구해지고, 알고 싶은 시점의 결과값을 구할 수 있어요.최소제곱법은 현재까지 통계학에서 중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예요. 천문학 연구에서 고안됐지만, 두 학문 모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답니다.유전학자가 발견한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표는 바로 이 두 가지 특성을 확인했다는 내용이다. LHC는 2012년의 모든 데이터(작년 7월 시점에 비해 2.5배 수준)를 그러모아 분석한 결과 이 입자가 표준 모형의 힉스 입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발표했다.한 차례 더 발표할 가치는 있었지만, 작년 성과의 재탕 느낌을 주는 것은 작년에 이미 ... ...
- UPDAT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걸러서요. 따라서 눈-704를 지우면……, 4년 전 시술을 받은 다음부터 지운 시점까지 보고 기억했던 모든 시각 기억이 함께 사라져요.”인유의 눈동자가 급속 냉동이라도 된 것처럼 단숨에 얼어붙었다가 천천히 과장의 얼굴 쪽으로 향했다.“……네?”“그러니까……, 지금 그렇게 바쁘게 하나라도 더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작품 ‘빨래터’의 진위 논란이다.윤 박사는 성분 분석에 참여했는데, 결과 내용과 발표 시점을 두고 서울대 측과 갈등을 빚다 결국 물러났다. 미술품 감정과 관련된 과학적 측정 결과는 워낙 민감하다. 누구의 말이 맞을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건, 4년이 지난 지금 당시 상황을 측정 현장에서 ...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미분방정식이란 연속적으로 변화는 양과 변화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방정식으로, 현재 시점에서 변화를 분석하면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매개변수★ 두 개 이상의 변수 사이에서 함수 관계를 정하기 위해 쓰이는 또 다른 변수다. 예를 들어 직선의 방정식 y=1/2x-3을 매개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들어오는 시점도 분석해 냈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이용해 동물의 심리와 행동 변화의 시점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것이다.생명 분야에서도 카타스트로피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세포 분열의 단계에서 세포는 어느 정도 성장하다가 갑자기 2개의 서로 다른 세포로 분열한다. 또한 알에서 번데기,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지지후보를 선택하면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011년 한국통계학회는 “현 시점에서는 ARS 조사방법의 과학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이번 대선에서 한국갤럽은 RDD 집전화와 RDD 휴대전화를 50%씩 섞어 조사원이 2000명에게 전화면접을 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선거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지구만 한 작은 행성도 찾을 수 있다.이 현상은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어떤 시점에 어떤 별을 관측했을 때 중력 마이크로렌즈 현상이 일어날 확률은 100만 분의 1이다. 그럼에도 지난 2년 동안 이 방법을 이용해 질량이 작은, 즉 행성일 가능성이 큰 천체를 500개나 발견했다. 여기서 두 가지 결론이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