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실
멸망시킴
전멸
섬멸
괴멸
해소
종료
d라이브러리
"
소멸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우선 우주가 생길 때 쿼크와 엔티쿼크가 생긴다. 그대로 두면 물질과 반물질은 충돌하여
소멸
되어 버린다. 그런데 어떤 과정에서 '바리온 수의 보존'(바리온:양자나 중성자 등 소립자)이 깨져서 쿼크만 남는가. 이른바 '시간반전의 보편'이라고 해서 물리의 세계에서는 하나의 반응이 일어나면 ... ...
편집증의 정신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불에 태워버리는 그의 끔찍하고 잔혹한 행동에는 비와 불로서 모든 죄를 씻고 태워버려
소멸
시킨다는, 정화의 의미(물론 병적인 사고이지만)가 담겨있는 것이다.아기 기저귀를 입에 물리는 행동은 '넌 자식을 죽인 여자이다'라는 응징의 의미이며 강간의 의미는 성적 쾌락보다는 복수와 공격성을 ... ...
PARTⅠ풍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풍력발전기. 이미 세계적으로 2만여대가 가동 중에 있다.지구상 어느 곳에나 존재하며,
소멸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대기오염이나 폐열방출과 같은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에너지원으로 최근에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바람이다. 바람은 옛날부터 우리 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풍차나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의문이 남아 있다.지구는 다세포생물이 등장한 이래 5차레의 대멸종기와 수십차례의
소멸
종기를 맞았었다. 그렇다면 알바레즈의 이론은 백악기사태라는 특별한 사건에만 적용되는 특수이론인가, 아니면 모든 사건을 설명해주는 일반이론인가? 또 대멸종은 불규칙적인가, 아니면 주기적으로 ... ...
PART1. 개념과 특성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유지되거나
소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보강상태에서
소멸
상태로 또는 그 중간상태로 자꾸 바뀌어서 결과적으로 간섭현상을 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형광등으로 조명된 방안에서 흰 종이 위에 간섭무늬를 관측할 수 없는 이유도 관측점에 도달하는 광파들이 형광등의 여러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원자단위의 격자결함을 평가하기 위해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를 이용하는 양전자
소멸
측정기술 등도 새로운 비파괴 평가 기술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비파괴 검사기술은 앞으로도 계속 더작은 세계를 보다 정밀하고 빠르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그려내기 위해 개발될 것이다. 이제 비파괴 ... ...
과학ㆍ기술계의 반응 심각 병역특례 축소에 따른 부작용 우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설명했다. 또 교원요원 RNTC 농촌지도요원 등은 제도를 만들 당시와 달리 그 필요성이
소멸
돼 제도자체를 폐지하게 됐으며 유사한 특례제도를 세분하여 중복과 불균형이 극심하게 드러남에 따라 크게 3가지로 통폐합하게 됐다고 밝혔다. "과학인력 양성을 위축시킬 것"병역특례제도의 대폭축소를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우리 인간과 함께 생물진화의 진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동물로 유명하다. 공룡의 출현과
소멸
과정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공룡의 특징이나 수량의 평형상태가 수천만년의 장구한 세월을 통하여 아무런 문제없이 안정되어 있다가 그 평형을 파괴하는 변화가 갑작스럽게 수천년 정도로 짧은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우리 몸은 3기관의 도움을 받아 똑바로 선다. 그렇다면 무엇이 그 팽팽한 균형을 깨뜨리는가? 현기증은 병명이 아니다. 어떤 질환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하나의 증 ... 치료는 그 원인질환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요체이다. 원인질환을 치료해주면 현기증도 함께
소멸
되기 때문이다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상륙하면 에너지원인 수증기의 공급이 끊기고, 지면 마찰과 2차순환에 의하여 천천히
소멸
해 간다.토네이도/황야의 무법자지난 해에 울릉도 근해에서 용오름 현상이 나타나 세인의 이목을 끈 적이 있었다. 이것은 토네이도가 수면에서 발생한 현상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센 바람과 파괴력을 가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