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품"(으)로 총 1,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우주여행을 하려면 기지가 필요해요. 달에 기지를 세우려면 지구에서 기지를 세울 부품을 다 만들어 우주선에 싣고 가야 하지요. 달이 아니라 화성이라면 세 달 넘게 여행해야 하는데, 우주선은 공간이 좁아 요리는커녕 음식을 놔둘 공간도 부족해요.하지만 이제 걱정 마세요. 3D프린터가 문제 해결에 ... ...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50회까지 성공했다”며 “리튬공기전지가 상용화되려면 나노촉매뿐만 아니라 다른 핵심 부품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두바이샛 1호는 2009년 7월 우주 궤도에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위성 자세제어용 부품, 지구관측용 전자광학카메라 등을 터키, 싱가포르 등에 수출했다. 우리나라 위성 개발에도 참여했다.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과 통신해양기상위성(천리안)에 들어갈 서브시스템과 모듈을 개발했다. 특히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 있지만 해외 판매까지 이뤄진 건 반디호가 처음이다.외국과 항공기 안전기준이 달라 부품을 그대로 판매해 현지에서 조립하는 ‘키트’ 형태 판매가 2006년 국내 최초로 이뤄졌다. T-50 2002년 8월 20일 한국최초의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에서 성능을 한층 높인 TA-50(전환훈련기), FA-50(전투폭격기)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거의 다 끝났지만, 로봇 몸체를 아직 완성하지 못한 단계였다. 오 교수는 일단 로봇 부품을 영국 현지로 실어 보냈고, 호텔 로비 구석을 빌려 칸막이를 치고 며칠 밤을 새 가며 현장에서 로봇을 조립했다. 아침 9시가 시연 시간이었는데, 전날 밤 경호실과 주한영국대사 등이 작업 상황을 구경 온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것에 일리가 있다. 선박 한 척, 원유시추선 등을 보면 정말로 어마어마하게 많은 부품과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창의성은 왜 필요한 것일까.“세상에 똑같은 해양플랜트는 없습니다. 멕시코 앞바다에서 만들어진 것과 브라질, 아프리카의 구조물은 다릅니다. 해양플랜트는 세계 딱 한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학적인 것부터 감성적인 것까지 다 들어가 있는 게 자동차라는 매개체다. 용품이나 부품, AS, 정비, 이륜차, 중고차, 렌트 등 국내에서만 70조원 규모의 시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산업이 업그레이드됐지만 문화적으로는 뒤떨어진 나라라는 게 김 교수의 지적이다. 문화적인 시너지 효과가 ... ...
- 과학강국 스위스의 과학외교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 있어요. 한국은 TV나 자동차 같은 전자제품을 잘 만들고, 스위스는 그 안에 넣는 작은 부품을 잘 만들죠. 또 스위스는 친환경에너지 기술도 막강하답니다.태양에너지로 달리는 배나 비행기도 만들었어요(2012년 12월 15일자 어린이과학동아 특집 참조).과학기술 강국이 되기 위해 어린이들이 무엇을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cm 정도 되는 정육면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봇은 몸에 부착된 자석을 통해 주변 부품을 결합해서, 2~3분 만에 자신과 같은 모양으로 새로운 로봇을 만들어 낸다. 전기접촉을 통해 옆의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만약 블록 하나가 고장나면 스스로 이 블록을 떨어뜨려 다른 블록으로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중량과 총 부피는 줄어드는데 배터리 용량은 신기하게 늘어난다. 설계방식을 최적화하고 부품을 소형화해 배터리에 쓸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난 것도 사실이지만, 같은 질량과 부피일 때 배터리의 용량은 실제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CPU나 메모리 기술 발전과 달리 배터리 기술 발전이 눈에 띄지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