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d라이브러리
"
벌레
"(으)로 총 85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시무시한 식충식물의 밥은 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먹고 산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식물학자들은 그 동안 이 식충식물이 작은
벌레
뿐만이 아니라 나무 두더쥐도 잡아먹는다고 생각해 왔어요. 그런데 최근 말레이시아 찰스 클라크 박사 연구팀은 네펜테스 라자와 나무두더쥐가 서로 돕는사이란 걸 알아 냈어요. 네펜테스 라자는 ... ...
떳다! 화석 삼총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4학년 때 직접 납땜을 해서 회로도 만들어 보고, 곤충에 관심이 생겼을 때는 집에서 사슴
벌레
를 키워 보기도 했어요.이번 연구에서 지루한 시간들을 견딜 수 있었던 것도 바로 화석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 때문이었어요. 캐고 버린 돌을 한 번 더 쪼갰더니, 몇 시간을 셀 수 없이 두드려도 나오지 않던 ... ...
팔랑 팔랑~ 나비의 봄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꽃에 앉아 맛있게 식사를 하고 있어요. 나비는 알, 애
벌레
, 번데기를 거쳐 어른
벌레
가 된 뒤 꿀이나 꽃가루 등을 먹고 살아간답니다. 민들레야, 안녕!노랑나비와 흰나비는 나비 중에서도 무척 가까운 사이예요. 둘 다 흰나비과에 속하거든요. 흰나비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나비들은 날개가 흰색이나 ... ...
개굴 개굴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할 만도 하겠죠? 아슬아슬한 일광욕청개구리 한 마리가 식충식물에 앉아 쉬고 있어요.
벌레
를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식충식물도 개구리에겐 훌륭한 휴식처가 되었네요. 꽃보다 참개구리!참개구리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로, 흔히 ‘논개구리’라고도 불러요. 수컷은 턱쪽에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공장’이다.흙 대신 하얀 스펀지 조각에 몸을 고정한 채 자라고 있는 채소들은 정말
벌레
먹은 흔적 하나 없이 매끈하다. 채소 바로 위에는 형광등 형태의 조명이 설치돼 있는데, 모두 LED라고 한다.“현재 일본에서는 약 50곳의 식물공장에서 상업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00% LED조명을 쓰는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바이러스도 함께 넣어 숙주 몸의 면역 체계를 혼란시킨다. 이는 해당 지역에 수많은 작은
벌레
로 이뤄진 연막을 쳐서 아군 유닛들을 보호하는 디파일러(Defiler)의 ‘다크 스웜(Dark Swarm)’ 기술과 유사하다.저그의 자랑거리는 뭐니뭐니해도 감염충(Infestor)이나 타락귀(Corruptor) 같은 유닛들이 펼치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없지만 아직도 수집가들 사이에선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대다수 새들이
벌레
를 잡아먹지만 나무 열매도 지친 새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된다. 보리밥나무의 열매도 그중 하나다. 일명 ‘보리똥나무’라고도 불리는 이 나무는 덩굴나무의 일종으로 홍도를 비롯한 해안가 일대에 서식한다.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내 화장실 변기, 빙판수로 쓰이고 있다.
벌레
먹은 소나무로 만든 경기장 천장곳곳에
벌레
가 먹어 버려지는 수십만 개의 소나무에서 성한 부분만을 잘게 쪼개 이어 붙여 경기장 천장을 만들었다. 이렇게 나무를 재활용한 덕분에 건축비를 30% 이상 줄였다. 슬로프가 구불구불한 이유는?오래된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잎사귀대
벌레
처럼 잎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주머니쥐 같은 천적이 나타나면 큰가시대
벌레
는 앞다리와 배를 위로 치켜들어 위협적인 자세를 취한다. 다리와 온몸에는 무수히 많은 가시(곁가지)가 돋아나 있어 겉모습만으로도 몸을 숨기거나 지킬 수 있다. 튼튼한 뒷다리로 노새처럼 강한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인물 외에는 메시지의 내용이 무슨 뜻인지 알아볼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황금
벌레
’에서 루그랑은 양피지에 나타난 양 그림을 보고 카리브해에 출몰했던 전설적인 해적 키드(kid) 선장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해골 그림과 양 그림 사이에 띄어쓰기 없이 빼곡하게 들어찬 숫자와 각종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