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년
끝
마지막
쇠퇴기
malot
malraux
marlowe
d라이브러리
"
말로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음수가 등장한다. ‘방정’은 숫자를 네모 모양으로 늘어놓고 계산한다는 뜻이다. 요즘
말로
하면 연립일차방정식 문제를 행렬식으로 바꿔 푸는 것이다. 즉 문자 앞에 놓인 숫자와 상수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하고 한 줄에 같은 수를 곱한 뒤 서로 다른 줄에 있는 수와 더하고 빼는 것을 반복해서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연수만 있어도 양을 표현하는 데 무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나라에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속담이 있다. 쉽게 말하면, 한대 때리고 열 대를 맞는다는 뜻이다. '말'과 '되'는 둘 다 부피 단위인데, '되'는 1.8L짜리 페트병에 들어가는 양이고 '말'은 그 열 배다. 사람들의 한 말의 절반만큼의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다. 가위는 도마뱀 목을 자를 수 있다. 도마뱀은 종이를 먹을 수 있다. 종이, 다른
말로
논문은 스팍 박사의 연구가 틀렸다고 증명할 수 있어서 이긴다. 스팍 박사는 바위를 증발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바위는 가위를 부러뜨려 이긴다. 예를 들어 A와 B 둘이서 묵찌빠를 할 때, 처음의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언어 가운데 6600여 개는 문자가 없는 언어다. 이 대부분은 소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로
이들이 속한 나라의 공용어에 밀려 마치 생물종이 멸종하듯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 가고 있다.찌아찌아족에 한글 수출된 이유“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하고 단순한 글자이며 자모음을 조합하면 어떤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숫자를 쉽게 표현하는 방법도 없었고 +, =와 같은 기호도 없었어. 오직 머리로 생각하고
말로
문제를 풀어야 했으니 간단한 문제라도 푸는 과정이 쉽지 않았어. 중국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어. 중국의 주세걸이 1299년 펴낸 '산학계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와. 이 문제는 조선 영조시기의 ... ...
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가는 다리 모양으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어. 등호 '='는 '같다', x는 '미지수(아하)'와 같은
말로
쓰기도 했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χ와 수학의 세계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살아야 할 것이다. 다른 곡류를 이리저리 섞어 봐도 이런 느낌을 재현할 수 없다.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는 면발의 ‘그 씹는 맛’을 내는 마법의 물질 ‘글루텐’이 밀에만 들어 있기 때문이다.글루테닌 그물망 사이에 구형 글리아딘 엉긴 상태글루텐(gluten)은 7세기 중국의 승려들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설명하니까 말이다. 이 교수의 설명은 자칫 신경과학자들의 신경을 거스를 수 있는
말로
들린다.인지과학의 세 번째 변화그런데도 그는 거침이 없다. “인간의 마음은 두 가지 측면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뇌에 의해 좌우되는 측면과 그렇지 않은 측면이죠. 현대 신경과학은 사랑하고 미워하는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짧은 순간이지만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직접 개기일식을 볼 때의 감동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다.절대 맨눈으로 보면 안 돼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지역을 인공위성에서 내려다보면 달의 그림자가 지구 위에 드리워져 어둡게 보인다. 새까맣게 보이는 본그림자 지역에서는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시작됐다. 하지만 입학사정관들은 “개성과 끼를 본다는 말을 튀는 학생을 원한다는
말로
오해하는 수험생이 간혹 있다”며 “다른 사람을 당황시키는 지나친 개성보다는 학생다운 모습이 가장 좋다”고 입을 모았다.지원자는 자신이 반드시 선발돼야 하는 사람임을 강조하기 위해 눈에 띄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