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알아볼게요. 한편 일각에서는 수학으로 흥행을 예측하는 시도에 우려를 표해요. 기존 데이터만 활용하면 미래의 문화적 환경이나 관객 취향 변화 등은 고려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또 지나치게 흥행에만 초점을 둔 작품이 나올 수 있어요. 그래서 수학의 흥행 예측을 참고로 하되 지나치게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연구했지요. 사람의 뇌 속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딥러닝을 컴퓨터에 내장하면 데이터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할 수 있거든요. 자율주행차가 앞의 장애물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움직여야 해서 딥러닝은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입니다. Q 대수기하학을 전공하셨으니 연구 분야가 ... ...
- [이달의 아이템] 일상을 푸르게 스마트 아이템 '가드닝'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스마트 센서다. 화분에 센서를 꽂고 와이파이에 연결하면 준비는 끝. 약 5000종의 식물 데이터가 입력돼 있어 키우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햇빛과 수분, 온도를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태양열 충전을 지원해 배터리 방전 걱정도 없다. 스마트 센서 하나면 다시는 식물이 말라가는 불상사는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또한 다른 시민과학자가 측정한 데이터에 접근해 새로운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것, 이런 데이터의 교류로 전 세계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원동력이 됩니다. 지사탐 대원들은 커뮤니티의 긍정적인 영향을 경험하고 있어요. 가족 그리고 지사탐 대원들과 탐사의 즐거움과 지식을 ...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10년간 1만 5000여 명의 대원들이 약 11만 건의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를 통해 수많은 성과를 이끌어내기도 했지요. 초등학생이던 대원은 어느새 시민연구원으로 후배 대원들을 돕고 있고요. 지구사랑탐사대는 그동안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0칼로리 치킨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맛 센서로 음식의 신맛은 어느 정도인지, 쓴맛은 어느 정도인지 등 비율을 파악한 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맛 탱크에 들어있는 액체를 조합하면 음식의 맛을 흡사하게 구현할 수 있죠.예를 들어 초콜릿 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맛과 쓴맛을 조합합니다. 단맛을 더 많이 분사하면 밀크 초콜릿, ... ...
- [과학 뉴스] 내 어항은 내가 직접 운전한다! 금붕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완성했습니다. 카메라와 센서는 어항 속 금붕어의 위치와 운동을 감지하여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냅니다. 컴퓨터는 금붕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 여부와 방향을 결정하죠. 금붕어가 앞쪽으로 헤엄치면 자동차가 따라서 전진하고, 어항 가운데로 돌아오면 자동차도 정지합니다. 연구팀은 ... ...
- 야생동물 구조 1만 데이터가 말해준 것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없을까. 어디에서, 어떤 이유로 야생동물이 고통을 당하는지 데이터로 확인해 보자. 동물을 구할 단서도 거기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01. 국도 1km마다 연간 7마리 희생…국도는 야생동물에게 가혹하다 “구조센터죠? 고라니가 차에 치였는데요….”지난 11년간 구조센터로 가장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탐사 생물종 중 내게 맞는 탐사는? 추천 탐사 찾기Part2. [특집] 10년간 대원들이 만든 데이터의 수는?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Part3.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Part4. [특집] 과학자가 말한다! 시민과학Part5. [특집] 시민과학자들이 말한다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 ...
- [특집] 3월 14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수학의 날!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주제로 전염병 분석, 인공지능 개발, 컴퓨터 게임 및 애니메이션 그래픽 제작, 빅데이터 분석 등에서 수학이 어떻게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바꾸고 있는지 소개했어요. 이를 주제로 한 포스터 챌린지도 진행했어요. 무려 2,100개 이상의 수학 포스터가 접수됐답니다. [Q&A] 왜 3월 14일일까? Q. 세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