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적
크기
폭
너비
여유
너그러움
넓음
d라이브러리
"
넓이
"(으)로 총 75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입체를 표현하려면 3개의 문자가 필요해서 3차원이라고 해요. 3차원 세계에는
넓이
뿐 아니라 부피도 있어요.차원을 극복한 예술가지금처럼 화려한 3D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어떻게 입체를 나타냈을까요? 과거에 예술가들은 2차원 평면에 3차원 입체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궁리했어요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넓이
는 큰 정사각형의 ${1}^{2}$이므로 2가 된다. 즉 큰 정사각형의
넓이
는 작은 정사각형
넓이
의 2배다. 그렇다면 히파수스 이전 시대의 사람들은 무리수를 몰랐던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약 3600년 전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서 무리수 계산에 대한 흔적을 볼 수 있다. 그 정확한 값을 수나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 지구로 돌아오는 귀환 로켓의 모습. 열에 의한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넓이
가 넓은 쪽을 앞으로 해서 떨어져야 한다.자, 이제 여행을 마치겠습니다. 어때요, 눈이 아찔해지는 속도감을 느꼈나요? 먼 미래의 신기술이라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더 빨리 달리고 싶은 사람들의 ... ...
새 교과서의 두 번째 성격! 나는 ○○○○!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단순히 원의 둘레나
넓이
를 구하는 계산 문제를 풀 때는 재미도 없고 왜 원의 둘레나
넓이
를 구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길수 있어. 하지만 실제 소재를 이용한 문제를 풀면 수학이 이렇게도 이용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돼. 이 문제의 경우 포환던지기의 규칙도 알 수 있어.수학 더하기 음악 도레미송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도넛은 보통 폭 9cm, 높이 3cm에 지름 2.5~3cm의 구멍을 가지는데 구멍이 없을 때보다 표면의
넓이
가 7% 정도 커진다.고리 모양의 안팎으로 열이 전달되니 기름에 튀기는 시간도 줄고 맛 또한 더욱 담백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요즘 도넛회사에서는 도넛을 만들 때 반죽 가운데에 구멍을 뚫는 방법을 쓰지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못했다. 지금은 이 문제 역시 작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됐다. 한편 삼각형과 같은
넓이
를 가지는 직사각형을 그리는 문제는 독자를 너무 우습게 보는 것 같으니까 그림만 하나 그려 놓는다. 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 ...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이해한 뒤에 문제 5개를 풀었는데 모두 다 맞아서 기분이 좋았다. 내일은 복잡한 도형의
넓이
를 구하는데, 조금 걱정스럽지만 기대도 된다.수학일기를 써 보았어.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느낀 점을 솔직하게 쓴 글이야. 매일 쓰면 나의 수학 공부를 되돌아볼수 있는 장점이 있지. 수학일기 외에도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모래를 뿌려 마찰력을 높이는 것과 같다.동태살 위에 묻힌 부침가루는 동태살 표면의
넓이
를 넓히는 효과도 있다. 표면이 넓어진 만큼 달걀도 더 많이 묻는다.이대로 프라이팬에 올리면 달걀옷이 벗겨지지 않고 구워져 노릇노릇 맛있는 동태전을 만들 수 있다.수학으로 짠맛 다스리기 설날 아침을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제주도 등 남해안이 집중적으로 높아져 전국적으로 서울시 전체
넓이
의 1.4배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이 바다에 잠길 것으로 내다봤다. 이것은 기후 변화로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높아진 기온은 남해안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차이가 있다. 하지만 원을 무한히 조각 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넓이
를 구하면 실제 원의
넓이
에 가까워 진다.짧은 시간이었지만 한국 수학사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해 주신 국오현 씨 감사드립니다. 서양 수학만큼이나 한국의 전통 수학 역시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해 왔군요. 여러분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