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023년 12월 2일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문화관 소극장에서 ‘2023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 페스티벌’이 열렸어요. 우리나라 생태계를 관찰하고 탐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한 해 동안 어떤 활동을 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대원들이 1년 동안 탐사한 생물은? 우리 주변에 살고 ... ...
- 배가 산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파나마 운하가 가뭄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운하의 작동 방식에 있어요. 파나마 운하는 호수 물을 이용해 배를 산 위로 올려 보내기 때문이에요. 마치 배가 엘리베이터를 타듯 말이죠. 엘리베이터 한 번에 물 2억L? 운하는 보통 가로막고 있는 땅을 모두 파내고 서로 떨어진 물길을 ... ...
- [가상 인터뷰] 뇌 없는 세균도 경험을 기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뭉쳐야 산다!” 우리 몸속 아주 작은 세균인 대장균이 뇌가 없는데도 생존 전략을 기억한다면 믿어져? 심지어 세대가 지나도 기억이 이어진다면? 대장균의 비밀을 들어봤어.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대장균이야. 사람의 소화기관 중 하나인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이지. 대장균은 유해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방금 배달 온 피자와 함께 시원한 콜라가 마시고 싶어서 냉장고를 열었어요. 콜라를 꺼내 컵에 부으려는 순간, 엥?! 콜라가 안 나오잖아? 그때 껄껄하고 섭섭박사님의 웃음소리가 들려옵니다. 새해 첫날부터 장난에 속다니…! 왜 이런 일이? ➔ 결과 : 콜라가 흐르지 않는다! 동물의 피부나 뼈, ... ...
- 이제는 인공지능도 만화가!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어느새 마나는 다시 자신의 책상 앞에 앉아 있었어요. 투니가 말했지요. “마나야, 이제 직접 만화를 그릴 수 있겠지? 인공지능(AI) 친구와 함께라면 더 쉬울 거야!” 최근에는 내가 원하는 캐릭터를 알아서 만들어주고, 대충 그린 그림도 더 멋있게 만들어주는 인공지능이 개발됐어요. 이런 인공지 ... ...
- [수학 마법사 루스] 새로운 모험, 따끈따끈하게 출발!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는 수학마법사, 루스!마법 학교에서 갈고 닦은 실력으로 전설의 마법사 프랙탈이 남긴 수학 카드를 모을 거야. 카드를 다 모으면 프랙탈의 마법을 풀고 마법사 전당에 내 이름을 올릴 수 있거든. 어떠면 프랙탈을 직접 만나게 될지도 몰라.자, 그럼 여행을 떠나볼까!잠깐! 그런데 웬 소란이지? 저긴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바다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불가사리는 ‘5중 대칭’이라는 독특한 신체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런 대칭성은 불가사리가 속한 극피동물 일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머리와 몸이 구분되는 척추동물과는 전혀 다른 몸 구조다. 그렇다면 불가사리의 머리는 어디일까. 유전자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리은하는 거대한 우주 구조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은하가 모이면 은하단, 은하단이 모이면 초은하단이라 부르는 식이다. 우리은하를 포함하는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팬케이크처럼 생긴 모양 탓에 ‘초은하 평면’이라고도 불린다. 초은하 평면의 지름은 약 10억 광년에 달한다. 그런데 초은하 평 ... ...
- 미술관에 떠오른 태양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편집자주. 예술의 언어로 세상을 재창조하는 작가들은 오늘도 호기심 많은 눈으로 과학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들의 손에서 재탄생해 미술관 속에 들어앉은 과학을 연재를 통해 소개합니다.)덴마크의 예술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2003년 영국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 설치한 작품 ‘The weather project(날 ... ...
- [특집] 생성AI 2024 리포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024년은 생성 인공지능(AI)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탑재해 인간처럼 똑똑하게 말하고 행동하는 생성 AI가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한 해가 예상된다. 생성 AI는 AI 개발의 최종 목표인 인공일반지능(AGI)과는 다르다. AGI는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독립적으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