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타의 비밀수학동아 l201012
- 접근하면 경로 찾기가 쉬워져. 최근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인 레너드 아들만이 DNA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어.해밀턴 경로문제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과학동아 l201012
- 강조했다. 맥그래스 교수가 분자생물학을 처음 접할 당시는 생물학계가 왓슨과 크릭의 DNA 구조 발견으로 인해 급속한 성장기에 접어들 때였다.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맥그래스 교수는 끊임없는 발견과 새로운 연구 성과에 고무돼 있었지만, 어느 순간 자신의 연구가 과거 선배 과학자들이 일궈 놓은 ... ...
- 맞춤의학과학동아 l201012
- 박사는 100만 원에 개인게놈을 분석하는 시대가 3년 뒤에는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 분자 한 가닥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하버드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팀을 비롯한 여러 연구팀에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현재는 미국의 ‘23앤드미’ 같은 회사들이 고객 게놈의 극히 ...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과학동아 l201012
- SARS)나 조류인플루엔자, 광견병 등의 질병을 연구할 수 있게 해 준다. 보통 근육 조직이 DNA를 추출하는 데 유리해 야생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연구하는 데 쓰고, 나머지 시료는 질병을 연구하는 데 주로 이용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Part 1. 살아남은 50%의 ...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과학동아 l201012
- 통통해졌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마도 선박에서 찾아낸 곡물의 DNA를 분석해 현재 곡물과 같은 품종인지, 곡물이 어떤 방향으로 개량됐는지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지난해 발굴했던 마도 1호선에서는 용도를 알 수 없는 원통형 나무토막이 발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불을 ...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과학동아 l201011
- 생긴다. 무엇보다 햇빛을 방어해줄 멜라닌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햇빛을 많이 받으면 DNA가 손상돼 피부암에 걸릴 가능성이 아주 높다. 알비노들은 낮에 외출할 때 선글라스와 함께 항상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다녀야 한다.알비노를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멜라닌 생성에 ...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과학동아 l201011
- 옮길 수도 있다. 아직은 작은 나노 입자를 겨우 지탱하는 정도지만, 연구가 진행되면 DNA 조각과 같은 생체 분자를 몸 속 깊은 곳으로 나르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다.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심이 교수가 기존의 진로를 포기하고 낯선 길을 택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바로 1989년 유학길에 오를 ... ...
- 매머드 피는 특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11
- 추출해서 매머드 피의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얻었구요. 이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대장균의 DNA에 넣어 피를 만들게 했답니다. 이렇게 복원된 피는 저, 매머드의 피와 다를 게 없지요.우와아~, 신기하군요! 추위에 강한 헤모글로빈에 대해서도 알려 주세요!연구팀은 복원한 저의 피와 아시아, 아프리카 ...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011
- 귀 기울여 보세요! 생명체 탄생의 비밀, 리보솜꼬마 과학자들, 안녕. 여러분도 알다시피 DNA에는 여러 단백질에 대한 유전자 암호가 들어 있어요. 단백질은 생명체에 매우 중요한 물질이지요. 그런데 이 유전자 암호를 해독해 단백질을 만드는 데 에는 어떤 기관의 도움이 필요해요. 세포 속 아주 작은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11
- 예를 들어 미뢰의 한 세포에 T2R1 유전자가 발현해 mRNA가 존재한다면 여기에 상보적인 DNA 가닥이 달라붙어 신호를 낸다. 이런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미뢰 세포의 15% 정도에서 쓴맛 수용체가 발현했고, 예상대로 이런 세포에서는 여러 쓴맛 수용체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했다.연구자들은 이 발견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