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d라이브러리
"
개량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12
개량
형경수로(한국형표준원자로)에서는 이 문제를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는가.
개량
형경수로에서는 최첨단 전자계측제어설비를 적용하여 설비를 최대한 자동화하고 기기의 용량결정에 있어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과도상태시의 민감도를 완화시킬 예정이다. 한국형 표준원전과 차세대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12
벼의 유정정보의 판독은 광합성의 효과를 높이고, 질소비료의 필요성을 줄여주므로 품종
개량
의 신기원을 열어 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해충저항성 무 배추들이 개발돼 무공해채소가 우리의 식탁에 올려지게 될 것이다. 나라꽃인 무궁화를
개량
, 진드기에 저항성이 있고, 다양한 색깔을 갖고,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12
생산해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효능이 우수한 신기능 단백질을 생산하고
개량
하는 단백질공학분야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2차 대사산물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사(代謝) 공학분야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유전공학적 기법을 바탕으로 신기능 ... ...
PARTⅡ 항공기
과학동아
l
199011
속도를 적은 연료소모로 낼 수 있는 엔진을 요구할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기존 엔진의
개량
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여러 형태의 엔진을 조합시킨 새로운 개념의 엔진이 필요한 것이다. 저속비행을 할 때는 큰 바이패스비를 갖는 터보팬엔진이 적합하고,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적은 바이패스비를 지닌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09
있었다. 그래서 고려 때부터의 전통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청동활자의 주조와 인쇄기의
개량
을 기술적으로 전개해 나갔다. 이런 노력은 세종 때의 갑인자 주조로 열매를 맺었다. 갑인자도 활자의 식자·조판방법으로 밀랍을 사용한 전통적인 고정법을 계승하고 있다.조선시대의 출판문화는 이러한 ... ...
음을 좌우·상하·앞뒤에서 듣는다
과학동아
l
199009
음원만을 제공해준 종래의 스테레오 시스템을
개량
한 신(新) 사운드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지금 오디오의 세계에 새로운 바람이 일고 있다. 종래의 스테레오시스템은 두개의 스피커만 가지고 있어서 음향 효과를 제대로 낼 수 없었다. 무대위 여러 지점에서 사운드가 나오는 실연(實演)상황을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09
경험을 제가 근무하는 실업계 학교 학생들에게 어떻게 활용할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개량
종 즉 품종화 말고 자생종들을 비교해서 장단점을 아이들에게 가르쳐 준다면 자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더 갖게 되겠지요. 분류학을 떠나 길가나 주변의 식물이름 정도만이라도 제대로 안다면 저절로 흥미가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08
7월 2일. 갑인년(甲寅年) 여름이었다. 세종은 이천을 불러 새로운 활자를 만들고 인쇄기를
개량
하는 문제를 협의했다."근년에 있었던 정벌로 병기를 만드느라고 구리를 많이 써서 구리가 모자랄 것으로 안다. 또 공장(工匠)들도 겨를이 없을 터이지만 활자를 안 만들 수는 없으니 잘 계획해서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07
다스리는 참외참외는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로서 인도가 원산지. 야생종이
개량
돼 오래전부터 재배돼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국에서는 기원전부터 재배했으며 5세기 경에 현대품종이 기본형이 생겼다고 한다. 원산지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 중국 일본 등지에 퍼져 오랫동안 재배돼 오는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06
유럽의 유리기술을 네덜란드인에게 배운 일본사람들은 17세기부터 열심히 유리그릇을
개량
, 18세기 이후에는 유럽에 필적할 만한 아름다운 유리제품들을 만들어냈다. 이는 우리의 경우와 매우 대조적이다. 예로부터 좋은 유리를 제조해 왔던 한국이나 중국이 오히려 일본보다 처졌다는 사실은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