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4회 전국 학생 과학 논술대회’ 수상작 발표
2015.08.21
착한 기술인가? 나쁜 기술인가?’로 대상을 차지했다. 중등부에서는 김현아
양
(경기 안
양
부림중 1학년)이 ‘늑대를 자연으로 돌려보내자’로, 고등부에서는 김석호 군(경남과학고 2학년)이 ‘빅데이터 사용 사례 및 빅데이터를 통한 친구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친구 관계 문제 해결방안’으로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나타났다.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
이지만 바이러스 입자로는 수 천 개에 달하는
양
인 만큼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밝혔다.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기존의 주요 경로인 분변이나 토사물보다는 가능성이 ... ...
수학 쉬워져도 사교육 못 잡는다
2015.08.19
소단원을 다르게 분류한다는 점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 같은 소단원이라도 배우는
양
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도 간과했다. 김명환 서울대 수리과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소단원을 세세하게 나누는 편”이라며 “교육과정 항목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실제로는 배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항목 ... ...
차세대 항암제용 항체, 어떻게 암 없애는지 확인
2015.08.18
T세포(가운데 보라색 세포)를 많이 분화시키면 이 세포가 생성하는 인터루킨-9(IL-9)의
양
역시 증가한다. 인터루킨-9은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을 매개로 암을 죽이는 세포독성 T세포(맨 아래 세포, CTL)를 많이 만들도록 조절한다. 반면 GITR 자극 항체는 면역 조절 T세포(오른쪽 하늘색 세포)의 분화는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초파리들은 정상 효모가 발효시킨 쪽으로 몰려들었다. 효모가 발효과정에서 다
양
한 향기성분을 만드는 건 널리 퍼지기 위해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함이라는 사실이 지난해 밝혀졌다. 초파리 다리에 붙어있는 효모(녹색).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그렇다면 왜 효모는 향기로 초파리를 불러들일까. ... ...
멈춘 심장 되살린 ‘스마트폰 진료’
동아일보
l
2015.08.17
회복했다. 그는 심장 등에 몇 가지 검사를 받고 이상이 없으면 조만간 퇴원할 예정이다.
양
씨는 “퇴원을 하면 박충노 소방장이나 조수형 교수를 찾아 감사의 말을 건네고 싶다”며 “스마트폰 화상진료가 많이 확대돼 더 많은 인명을 살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주=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
곡물과 석유가 드나드는 미시시피 강
2015.08.16
한 번에 1만 t 정도를 실어 나른다고 하니 미시시피강을 이용하는 것이 한 번에 많은
양
을 나를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인 셈이다. 배가 5층 높이만 한 거대한 시설 앞에 멈췄다. 실제로 곡물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의 ‘엘리베이터’다. 미시시피 강에만 이런 엘리베이터가 10개 설치돼 있는데 ADM, 카길 ... ...
수학 흥미도 1위 국가는 수학 후진국
2015.08.16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가 간의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김 교수는 “
양
이 줄고 내용이 쉬워진다고 수학이 재미있어 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더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수학의 재미와 유용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교육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2000년대 초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리튬망간인산은 기존 전지에 사용하고 있는 소자보다 단위 부피당 저장된 에너지의
양
이 많은 것이 장점. 하지만 낮은 전기전도도 때문에 출력량이 낮아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은 나노입자가 매몰된 리튬인산망간 전극의 구조. 연구팀은 전기전도도가 낮은 리튬인산망간 전극에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염분차발전 뿐만 아니라 해수담수화와 정수기 등 다
양
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정 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을 이용해 내년부터 제주도에 20kW급 발전기 건설에 돌입할 것”이라며 “2020년까지 염분차발전으로 전기자동차용 전력을 공급하는 실증 시험을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