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흡수된 부분이다. 원자나 분자는 종류에 따라 특별한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그래서 천문
학자
들은 흡수선의 위치를 지구상의 알려진 원소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과 비교해 별의 구성원소나 성질을 알아내기도 한다.현재는 여러 별들을 특징적인 스펙트럼별로 분류한 체계를 사용한다. 보통 별의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
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는 은하는 불규칙은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
학자
'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교수도 정통 물리학을 추구하기보다는 응용에 기초를 둔 소자물리학을 연구해온 과
학자
이며, 한걸음 더 나아가 킬비 연구원은 전공 분야조차도 물리학이 아닌 전기공학이었다. 아울러 그의 최종학력이 박사가 아닌 석사이며 평생을 산업체에서 근무했던 현장맨이었음은 전통적인 분위기의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살리는 편이 낫다는 법원의 판결에 동조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의료인과 의료윤리
학자
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예컨대 의료윤리학회지 편집인인 길론 교수는 “물론 한 아기라도 구하는 것이 나을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결정권이 부모에게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반대하는 부모의 의견보다 다른 ... ...
생명공
학자
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생명과학전문 투자자문가'라는 새로운 전문직이 필요한 셈이다.사회
학자
나 윤리
학자
,철
학자
도 마찬가지다.유전자 조작을 통한 치료를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집단이 생겨나 사회문제를 일으킬수 있다.또한 윤리적,종교적으로 장기이식을 위해 만들어진 생명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지가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0억년을 날아왔다는 사실에 대해 미국 버클리주재 캘리포니아대 우주과학연구소의 물리
학자
켈빈 헐리 박사는 “이 천체가 우리에게 초기우주의 천체를 관측하고 연구하는데 가장 긴 잣대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감마선 폭발천체는 그 정체가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는데 최근에 축적된 ... ...
표범 수컷 울음소리로 번식기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간혹 동물원에서 호랑이와 같은 동물이 새끼를 낳았다는 기사가 실린다. 그만큼 동물원에서는 야생동물을 번식시키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표범과 같은 고양이과 동 ... 감정변화, 또는 동물집단 안에 존재하는 질서나 사회성 등을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과
학자
들은 내다봤다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테르텐 및 캠퍼 연구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스위스에서 강의를 하던 크로아티아의 화
학자
레오폴트 루지치카는 폴리메틸렌과 테르펜에 관한 연구로 1939년에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그들의 연구는 간단히 말해 합성향료를 개발한 것이다. 특히 루지치카는 향수의 중요한 성분인 사향의 냄새를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실이 굳어지자 이 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일이 남아 있었다. 프랑스의 어느 천문
학자
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허셜’로 하자고 제안했고 독일의 보데는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추천했다. 하지만 허셜 자신은 새로운 발견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데 서슴지 않고 영국 국왕의 이름을 따서 ... ...
서태지 헤어스타일에 프랙탈이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쉽게 발견하거나 만들어내기 어려우며, 그 특징을 정량화하기도 쉽지 않다. 서양의 수
학자
들이 자연에서 프랙탈을 발견한지가 40년이 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그러나 아프리카인들은 오래 전부터 프랙탈 구조를 의식해왔고, 그들의 문화 속에서 발전시켜왔다. 그들은 우연히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