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새겨봄직하다. 정부는 6년 후인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
안
되면 되게 하라’보다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이 더 필요할 때다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4~6시간이다. 아이가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다른 계열의 약을 섞어 자주 먹여서는
안
된다.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의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이다. 3일 이상 고열에 시달린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 교수는 “아이가 열이 날 때 뇌막염이나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더 다양하고 쓰기 편리한 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출중한 디자이너에서 이제 보
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융합연구가로 거듭난 남 연구원이 말을 이었다.“자나 깨나 위·변조 방지 방법만 고민합니다. 그게 제일이니까요. 그렇게 축적한 노하우에 대해서 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하는 나라는 브라질?콜롬비아 에아핏대학교 경제학자인
안
드레스 아산 교수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립대학교 통계학자인 호나탄 히메네스 교수팀은 이번 월드컵에서 어떤 나라가 우승할지에 대해 연구했다. 지금까지 나라별 축구 성적과 전 세계 축구팬들이 배팅한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시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하루에 물을 8잔씩 마셨어요. 그렇다고 음료수를 아예
안
먹은 건 아니기 때문에 예전보다 물을 마시는 양을 늘린 거죠. 물을 마시고 6개월 만에 몸무게가 1~2㎏이 줄었고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이 줄면서 허리가 얇아졌어요. 특히 여드름 때문에 고민이었던 피부가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런데 여기 차가운 온실이 있다. 바로 치훌리의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다. 이 온실
안
에는 더운 지방의 식물 대신 유리로 된 꽃이 벽면을 타고 넝쿨을 이루고 있다. 글라스하우스는 미국 시애틀의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Chihuly Garden and Glass)’ 중심부에 있다.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는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준수하고 수학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수학자들은 NSA의 일을 하면
안
된다는 글을 ‘미국수학학회지’ 2014년 6~7월호에 실었다. 더불어 그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이 테러 방지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5년간 미국 국방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NSA가 수집한 대량의 정보가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완충층을 올려 고온으로 표면처리를 한 후, 그 위에 질화갈륨 박막을 기르는 방법을 고
안
해 훌륭한 품질의 박막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다. LED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장면이다. 1992년 나카무라 교수는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면 마그네슘 불순물도 소자로 쓸 수 있다는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더 실험해 보라고 시키더군요. 그 실험을 다 하면 2년은 걸릴 것 같아 ‘너희에게
안
낸다’고 대답했죠.” 그 학술지는 논문을 받아줬고, 이듬해 이 개념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논문을 연달아 냈다. 지금 이 소장은 일명 ‘아바타 쥐’ 연구를 하고 있다. 환자의 암 조직을 쥐에 넣어 암을 보다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작동한다. 심지어 나뭇가지나 잎, 다른 동물에 얼굴 일부가 가려도 문제없다. 보
안
이나 범죄자 추적을 위해 개발됐던 생체인식 기술이 생태연구로 넘어가 동물식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다음 장 참조)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