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 찰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놓여 있어요. 우리가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장면은 렌즈로 모은 빛을 카메라
속
거울들(미러와 펜타프리즘)이 반사시켜 보여 주는 거예요. 셔터를 누르면 필름 앞을 가리고 있던 미러가 올라갔다 내려오면서 빛이 필름에 닿아 사진이 찍힌답니다.그 뒤 어두운 곳에서 필름을 인화지에 대고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화석은 모두 몽골에서 발견됐고, 우리나라에서는 이빨과 발자국 화석이 나왔어요. 만화
속
에서 석이 아빠가 찾은 뼈 화석은 타르보사우루스가 한반도에 살았다는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꾸민 이야기예요. 하지만 언젠가는 우리나라 지질학자들이 분명 찾아내지 않을까요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그 중에서 맘에 드는 암컷을 선택하지요.부성애 가진 물장군 수컷은 암컷 선택해물
속
에서 사는 물장군은 엄청난 부성애를 자랑하는 곤충으로 유명해요.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등에 업고 다니거든요. 곤충의 알은 영양이 풍부하고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포식자가 ... ...
우렁이 VS 다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다슬기라고 불러요. 우렁이와 마찬가지로 복족류 연체동물이지만 둘은 각각 다른 과에
속
하지요. 다슬기 껍데기는 검은색을 띤 갈색이며 때론 녹색 빛을 띠거나 흰색 무늬가 있기도 해요. 껍데기 전체가 길쭉하고 뾰족한 뿔 모양으로 생겼지요. 껍데기 크기는 높이가 2~3cm, 너비가 1cm 정도로 ... ...
뱀한테 한 수 배우다! 뱀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있을지도 몰라. 그렇다면 우주 정복도 시간 문제겠군, 크크크. 어제 훔쳐둔 로봇을 장롱
속
에 넣어 놨지. 어디 열어 볼까? 꺅! 이게 뭐야 진짜 뱀이잖아. 살려 줘!네 정체는 도대체 뭐야? 진짜 배…, 뱀?나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로봇공학연구소에서 태어난 뱀 로봇이에요. 뱀 중에서도 방울뱀의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점퍼가 있다. 일반 점퍼와 비슷하게 보이는 이 점퍼는 곳곳에 있는 지퍼를 열고 옷
속
에 낙엽을 채워 넣을 수 있게 만들어졌다. 낙엽을 넣기 전에는 얇은 점퍼지만 낙엽을 넣으면 패딩점퍼처럼 통통해진다. 얇은 낙엽들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공기층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 결과 마치 오리털 ... ...
창간 10주년 기념 앨범 우리가 열 살 즈음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봐 주세요♥지금의 열 살 즈음 어린이에게나이도 제각각, 살았던 곳도 달랐던 사진
속
주인공들은 모두 ‘국민학교’에 다녔어요. 지금의 ‘초등학교’가 1996년 2월까지는 국민학교로 불렸거든요. 건강하게 뛰어 놀고 해맑게 웃던 열 살 어린이들은 이제 어른이 되어 어과동을 열심히 만들고 있어요.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노력해야 하겠어요! 지구사랑탐사대원만 누릴 수 있는 5가지 특별한 혜택1 자연
속
에서 펼쳐지는 생태탐사 캠프 참여 가능2 탐사대원증, 탐사가이드북 등 탐사물품 제공3 오리엔테이션과 현장교육을 통한 생태교육4 제인 구달 박사가 만든 시민단체 ‘뿌리와 새싹’인증서발급(일정 수료 기준을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눈으로 색을 보고, 코로 향을 맡은 다음에 마셔 보세요. 차 맛이 훨씬 좋을 거예요. 전통
속
에 디지털로 만든 전통 흥(興)이 있다고즈넉하고 아름다운 우리전통 문화가 첨단기술과 만나면 더욱 멋지게 변한답니다. 광화문의 길게 뻗은 외벽에 프로젝터 빛을 쏴 영상을 틀면 광화문은 하나의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귀뚜라미 못지않은 가수랍니다. 이솝우화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 잘 알지요? 이야기
속
에서 여름 내내 바이올린을 켜며 노래를 부르는 베짱이가 바로 여치의 한 종류예요.그런데 친구들 혹시 여치의 노래를 들어본 적 있나요? 왜 여치의 노래는 귀뚜라미 노래처럼 익숙하지 않은 걸까요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