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연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결국 1982년 그의 동료였던 마샬이 세균을 배양하는데
성공
했다. 강산인 위 내부에도 세균이 산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이 균은 처음에는 켐필로박터균(식중독균) 종류로 불렸는데, 1988년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정식 명칭을 얻었다.헬리코박터균은 위뿐만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핵융합을 이용하는 수소 폭탄은 1950년대 미소냉전 하에서 개발돼 시험에
성공
했다. 그러나 핵융합을 이용하는 발전은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그런데 잘 아는 대로 핵분열에는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같이 원자번호가 높은 무거운 원소가 사용된다. 무거운 원자핵이 분열해서 가벼운 원자핵이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개발은 일찍이 1970년대부터 미국과 일본에서 시도돼 왔다.그러나 아직 상업화에는
성공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기술로는 수 GHz를 넘지 못하며, 반도체 기술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 주도로 일본과 유럽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기술에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상품을 개발해 왔다고 한다. 그 결과 지난해 초 천연 송이버섯 균사체의 인공배양에도
성공
했다. 송이버섯은 그동안 인공양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었는데, 쎌바이오텍이 30년이 걸리는 균사체 형성기간을 인공적으로 배양해 15일만에 균사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서울대학교의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줬다. 결국 그는 뇌간(brain stem)에 전기 자극을 주는 실험에서 탈력 발작을 일으키는데
성공
했다.이 실험은 1940년대 미국 노스웨스턴대 호리스 매군 교수가 했던 실험에서 힌트를 얻었다. 매군 교수는 뇌간의 한부분인 연수(medial medulla)에 전기 자극을 주면 갑자기 근육이 풀어지면서 사람이 전혀 ... ...
멸종위기동물 복제 시도 실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8년 전에 죽은 가우어의 피부세포를 평범한 젖소에서 얻은 난자에 집어넣어 복제에
성공
한 동물이다.노아를 관찰한 코넬대의 조나단 힐 교수는 “처음 몸무게는 36kg으로 건강에 이상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12시간이 지났을 때 문제가 발생했다. 바로 이질균의 감염이었다. 힐 교수는 “모든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복제돼 다수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그러나 앤디의 유전자조작이 완벽한
성공
인지는 불확실하다. DNA 검사 결과 앤디는 형광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표피세포에서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유산된 원숭이 2마리는 발톱 등에 불을 비췄을 때 형광반응을 보였다. 앤디가 형광반응을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용해 ‘2세 씨앗’을 다시 싹틔워 키우는 놀라운 개가를 올리기도 했다. 이 실험의
성공
은 앞으로 식용과 대기정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식물을 장기적 우주비행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따라서 우주식물은 우주인들의 생활에 필요한 먹거리, 공기정화, 물 생산의 원천이 될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케네디 교수팀은 컴퓨터를 통해 사지가 마비된 환자가 생각만으로 팔을 움직이게 하는데
성공
했다. 연구자들은 환자가 생각을 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패턴을 컴퓨터로 읽어냈다. 한편 환자의 팔근육신경에는 컴퓨터의 신호를 받아 전기자극을 주는 전극이 꽂혀 있다. 연구자들은 컴퓨터를 통해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보이는데 반해 FED는 최근 삼성종합기술원 김종민박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과의 기반에 든든한 이론물리학자인 임지순교수가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잘 모른다. 2003년 정도면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릴 FED가 상용화될 전망이다. 우리의 생활과 관련된 것을 하고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