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0개 이상의 연구팀들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연구하고 있다. 로체스터 대학 컴퓨터
공학
과 대학원생 제시카 베일리스는 가상룸 실험실에서 가상현실헬멧을 착용한 사람이 전등을 켜거나 끄는 일, 자동차 모형을 멈추게 하는 일 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현재까지는 뇌파로 가장 단순한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음성 주파수를 시간의 간격을 두고 인식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소된다.이와 같은
공학
적 응용이 훨씬 활발해진다면, 그리고 음성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된다면 미래 사회는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모든 기계에게 말로 명령하고, 키보드 없이 일상적인 언어로 문서를 작성하며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경우이다. 한편 박쥐의 음파탐지 행동을 모방해 레이더를 개발한 것은 생물의 기능을
공학
적으로 응용한 것이다.하지만 인공생명 연구자들은 생명체의 외형적인 모양이나 기능뿐 아니라 인간의 두뇌와 생명체에 내재된 행동원리와 규칙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자연계의 벌이나 개미와 같은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시민(단체)의 입장 역시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크게 3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에서 생명
공학
을 이해하는 출발점인 DNA의 개념으로부터 시작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내용과 의미, 그리고 인간에게 미칠 부정적 영향까지 소개했다. 2장에서는 복제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동물복제, 인간배아복제, 그리고 ... ...
의료용 방사선 영상 계측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해를 주는 악한 얼굴과 인간을 이롭게 하는 착한 얼굴이 함께 있는 셈이다.KAIST 원자력
공학
과 조규성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바로 방사선의 착한 얼굴을 더욱 착하게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약한 인공방사선을 이용해 인체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의료용 방사선 영상계측기기를 개발하고 있기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다루는 천문학과 물리학에 관련된 것으로부터 유전자 조작과 인간복제를 다루는 생명
공학
과 생명윤리를 다루는 것까지 과학의 모든 분야와 관련돼 있다. 그렇다면 학생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학교 과학교육을 위해 SF영화의 장점들을 과학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SF를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표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김선영 교수 역시 이런 신중파의 한사람이다.그는 최근의 생명
공학
투자 현황을 한마니도 '묻지마 투자'라고 정의한다.언론과 방송에서 선진국과 한국의 바이오칩 성장 가능성을 지나치게 보도한 나머지 일반인들이 제대로 알지 못하고 떼돈을 벌 헛된 꿈을 꾼다는 의미다 ... ...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정부의 전폭적인 재정적 지원 하에 전세계 10여개 선진국 3백50개 실험실에서 수행되는 다국적 인간게놈프로젝트.여기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 ... 사업을 시작할 것인지 그리고 어느 시점에서 다른 모델로 사업을 전환할 것인지가 생명
공학
회사들의 성장과 생존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 ...
발상의 전환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그런데 전공을 정할 때 지도교수이던 최병두 교수가 물리를 해보고 대학원에 가서
공학
을 해도 좋을 것이라고 조언하는 바람에 물리에 발을 들여놓았다고 한다. 그 후 자신의 적성이 물리에 더 있음을 깨달았다. 즐겁게 몰두할 수 있었기에 이 길이 자신의 길이 됐다는 말이다. 그래서 그는 대학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전문가의 길로 다다를 수 있다고 말한다. 과거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던 전자
공학
을 전공으로 택하게 된 까닭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줄 아는 혜안이 오늘날의 로봇축구를 탄생시켰다는 말이다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