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늘을 이식하지 않고 직접 사람의 생각이나 시각 정보를 얻으려는 시도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뇌의 활동을 영상화하는 기술인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는 것이다. 바늘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영상의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분명 머리 외부에서도 뇌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 2008년 일본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K양은 성적이 좋지 않은 편이라 유명한 대학이나 학과 진학은 배제했다. 영상학과를
가지
않아도 다큐멘터리 피디가 될 수 있다. 피디가 되려면 방송사시험을 봐야 한다. 관련 전공 분야를 대학에서 공부했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철학과나 경영학과, 공대를 나와도 언론분야를 공부해서 피디를 할 수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록한다. 학생을 관찰한 3명의 담임교사가 쓴 추천서인 셈이다. 다른 영역에 들어
가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종합의견란을 최대한 활용해 넣자. 자료를 만들어 담임교사에게 제공한다. 특히 참가한 활동은 참가동기·활동내용·성과를 본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작성하자. 종합의견 내용 쓰기 예 A학생: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높은 꿈을 꿀 수 있는 활동을 하게 도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이 학생들도 마찬
가지
였습니다. 첫 번째 연구활동은 결과가 왜 그렇게 나오는지에 대한 실험은 못한 상태로 결론을 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추가 실험을 하게 했습니다. 추가 실험 중에는 학교에서 할 수 없는 내용도 있어서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작업에는 많은 사람들이 전시 작품으로 알고 있는 벌새 애니메이션도 포함됐다. 이 네
가지
기술은 현재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구성한다. 이들에겐 모두 지금은 사망한 컴퓨터 업계의 선구자 스티브 잡스의 작업이 녹아있다. 그런데 그는 이 모든 것의 최초 발명가가 결코 아니었다. 이 사실들로부터 ... ...
어린이 과학동아가 과학으로 바꾼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좀 보세요! 제가 앉았더니 영상이 막 바뀌어요. 마치 중심으로 빨려드는 느낌인데요?여러
가지
무늬를 이용해 중력파를 표현한 것 같군. 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가속할 때 시간과 공간을 모두 지나가는 파동인데…. 자네가 만든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시작돼 아직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네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물줄기큰 하천의 하류에 발달한 넓은 평야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 수 있다. 하지만 한
가지
큰 단점이 있다. 바로 홍수 위험이다.동아시아의 경우 여름철에 강수량이 집중돼 있다. 상류와 중류에 비가 많이 오면 이 물이 몰리는 하류 평야에서는 홍수가 날 수밖에 없다. 중국 황허 강이 대표적이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공부할 수 있다.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식물의 생장 조건 중 빛과 온도를 2
가지
씩 정해 총 4개의 화분에서 식물을 키워볼 수 있다. 서로 다른 조건에서 식물을 키운 뒤 조건과 생장 결과를 비교하면 식물의 생장에 어떤 요소가 영향을 끼쳤는지 체험할 수 있다. 가상 식물이 다 자라는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실제 호텔에서는 층별 마스터 열쇠를 비롯해 호텔 전체를 열 수 있는 마스터 열쇠를
가지
고 있다.살짝만 바꿔도 훨씬 안전하다그렇다면 자물쇠를 좀 더 안전하게 만들 수는 없을까? 방법이 있다. 자물쇠에 들어있는 핀이나 열쇠의 모양을 바꾸면 된다. 조금만 바꿔도 훨씬 안전하다.실린더형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봐야죠. 어떤 학생들은 호기심이 없어요. 수학 문제 던져주면 깔끔하게 풀어오는데 더
가지
않죠. 호기심이 넘치는 학생이라면 의대보다 공대가 좋아요.”조정과의 인연개인적인 이야기를 할까요? 학장님은 기계공학과 72학번입니다. 왜 공대를 가셨나요?“전 인문사회 쪽은 아니었어요. 전형적인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