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불가능한 걸까.이런 상황에 큰 도움이 될 만한 환경 책이 나왔다. 우리나라 학자들이
직접
한반도의 기후변화 양상과 그 영향을 기록하고 연구한 책이다. 환경과 생물 전반을 두루 다루고 있다는 뜻에서 ‘기후변화 교과서’라는 제목을 붙였다.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에 관해 상상할 수 있는 거의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해져 내려온 석실 매장문화를 따랐다. 고조선 땅을 한나라에 빼앗긴 후, 한나라가
직접
관리하던 ‘낙랑’ 지역에서 천축분이라는 최초의 벽돌무덤 방식이 등장한 것이 효시다. 이 무덤양식은 계속 발전해 오다 삼국을 거쳐 고려시대까지 이어진다. 서정석 공주대 문화재보존과학과 교수는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산발전용 수차발전기는 이미 설치가 끝나 물에 잠겨 있었다. 거대한 수차의 위용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지만 불가능했다. 수차와 수문 모두 물에 잠겨서 그 깊이를 가늠할 방법도 없었다. 이런 생각을 눈치챈 듯 손 소장은 기자를 수차구조물이 설치된 끝부분으로 데려갔다.“아래를 보세요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반알파입자가 만들어질 확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생성되어 검출기에
직접
그 궤적을 남겼다는 일은 대단히 주목할 만한 일이다”라며 “당분간 이보다 더 무거우면서 방사성 붕괴로부터 안정한 반물질이 만들어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반수소를 포획하라이처럼 다양한 ... ...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좋았습니다.”동아리를 지도하고 있는 김보건 선생님은 돌아가는 길에 “과학동아 팀을
직접
본 뒤 학생들이 멋진 잡지를 만들겠다는 열의가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견학은 학생들의 꿈을 키우고 입시에 도움을 주는 좋은 기회였다”며 “앞으로 이런 자리가 더 마련됐으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누구나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는 로봇 팔을 개발해 기업에 기술이전을 마쳤다. 사람이
직접
조종하며 최대 1.5kg까지 들 수 있다.보통 로봇 팔은 관절에 모터를 넣어 움직인다. 그러면 관절에 들어갈 수 있는 작고 가벼운 모터를 써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진다. 그래서 김 교수는 사람의 팔을 흉내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위성 개발에 참여한 신재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직접
아리랑5호를 소개한다.‘다목적실용위성5호’는 전파로 사진을 찍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상레이더 위성이다. ‘아리랑5호’로도 부르는 이 위성은 우리나라의 4번째 저궤도위성이다.위성은 궤도와 기능에 ... ...
Armadillos and Human Leprosy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했다. 이러한 사실은 결과에 대한 과학자들의 확신을 더해줬다.연구결과에 의하면
직접
아르마딜로와 접촉했다 하더라도 나병이 옮을 가능성은 낮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환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안티박테리아 물질로 치료받을 수 있다고 해도, 박테리아에 전염될 수 있으므로 아르마딜로를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줄 알았는데, 사칙연산 모두 가능하다니
직접
보지 않고서는 믿을 수가 없었다. 기자가
직접
확인해보기 위해 선생님에게 곱셈문제를 냈다. 간단한 세 자리 수와 두자리 수의 곱셈 456×82를 암산으로 답하는 문제다. 2~3초가 지났을까? 선생님은 지체 없이 37,392라고 답을 말했다. 계산기만큼 빠른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알 수 있지.사실 이것은 완전수이기 때문에 너무나 당연한 결과야. 왜 이렇게 되는지는
직접
통분을 한 뒤에 계산을 해보면 금방 알 수 있을 거야. 삼각수는 말 그대로 삼각형 모양으로 점이나 물건을 배열했을 때,사용된 점이나 물건의 총 개수를 말하지. 아래 그림에서 살펴보면 첫 번째 삼각수는 1,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