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세요~!”기자단 친구들은 앞서 만져 본 장치들 중 하나를 골라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먼저 친구들은 설명서에 나와있는 대로 장치의 부품들을 조립했어요. 필요한 부품들을 하나 하나 끼워 맞추다 보니 금방 장치의 몸체가 완성됐지요.“선생님! 명령어는 어떻게 입력하는 건가요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룩스 교수의 기존 알고리듬이 지금까지 알려진 NP-완전의 그 어떤 문제보다 빠른 시간 안에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프 동형 문제, P가 될 수 있을까?이번 바바이 교수의 증명이 맞다면 그래프 동형 문제는 생각보다 P에 매우 가까워지는 셈입니다. 예전에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어떤 수가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린란드, 캐나다 등지에 빙하가 생겼다.약 2억 5000만 년 뒤 세계지도 미리보기지금 이 시간에도 수렴과 발산 경계에서는 지각이 새로 탄생하거나 사라지면서 대륙이 움직이고 있다. 각 판이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다면 앞으로 대륙이 어떻게 움직일지 알아낼 수 있을까? 미래에 전 세계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어닐링 알고리듬, 그리고 디웨이브2X가 사용하는 양자 어닐링 알고리듬이 각각 걸리는 시간을 비교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연구팀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디웨이브2X는 기존 컴퓨터에 비해 속도가 1억 배 빨랐다. 배 교수는 “이런 비교 방식으로는 디웨이브2X의 속도가 빠른 게 양자 때문인지, 기존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담륜충, 섬모충 등 다양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50% 이상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지 3시간 만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했다고 밝혔다. 동물성 플랑크톤은 먹이사슬의 가장 아래 단계에 위치하는 생물로, 다양한 해양 포식자의 먹이다.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의 피해는 해양 생태계 전체로 퍼질 수 있다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방문고객은 주차요금을 크게 할인해 준다기에 아쿠아리움을 후딱 둘러보고 남은 시간 동안 쇼핑을 즐길 심산이었다. 아, 내가 좋아하는 물고기다. 풀잎 해룡(Weedy seadragon)이었다. “하준아, 저것 봐. 해초랑 똑같이 생겼지? 저렇게 모양과 색깔이 해초를 빼 닮아서 남들에게 잡아 먹히지 않으려는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하면 대장균과 같은 병원균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한 시간마다 한 번씩 손세정제를 사용하니 손이 아주 건조해진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손이 너무 건조하니 살이 종이에 베인다든가 뾰족한 물체에 긁혀 상처가 난다든가 하는 일이 많아졌고요. 영광의 상처로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긴 건기가 끝나고 나면 연못에 물이 고이는 우기는 불과 4~6개월밖에 되지 않아요. 이 시간 안에 알을 낳을 수 있는 어른으로 자라야 후손을 남길 수 있지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다리오 발렌자노 교수팀이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짐바브웨와 모잠비크에 사는 ‘노토브란키우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힉스는 1960년대 영국의 과학자 피터 힉스가 처음 이론적으로 예측했지만, 존재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직접 관측되지 못했어요. 그러다가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마침내 힉스를 발견했어요.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표준모형은 완성될 수 있었어요.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삼각함수로 설명했어요. υ0x= υ0 cosθ, υ0y= υ0sinθ처럼 말이지요(오른쪽 그림). 그리고 시간(t)에 따라 달라지는 새의 위치는 다음과 같아요. 이렇게 구한 식들을 공통된 변수로 묶고 하나로 합쳐, 새총을 약 25°로 당겼을 때 1초당 약22.5864앵그리의 속도로 새가 튕겨져 나간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 ...
이전4544554564574584594604614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