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자가족이 치료약 개발 주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만명 정도이며 세계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미국 낭포성 섬유증 재단(CFF)이 생명
공학
회사인 오로라 바이오사이언스사(Aurora Biosci-ences)에 직접 3천만달러를 투자해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를 개발하도록 했다. 일단 유망한 치료제 후보를 찾아내면 임상실험에 들어가기 전까지 1천6백9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생명의 암호문으로 불리는 인간DNA 염기서열 초안이 이미 공개됐다.2003년 무렵에는 완벽한 해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이제 남은 것은 유전자의 규명.최근 유전자의 개수에 대한 새로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과학자에 따라 서로 다른 숫자를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지난 6월 11일 미국 국립보건원 ... ...
우라늄탄이 장갑차를 뚫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일까. 최근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지는 우라늄탄에 대한 물리학적이고 재료
공학
적인 원리를 보도했다.자연상태의 우라늄 광석에는 방사능이 강한 우라늄235(0.72%)와 이보다 방사능이 약한 우라늄238(99.27%)이 혼합돼 있다(우라늄238이 붕괴해서 생긴 우라늄234도 극미량 존재한다). 원자력 발전에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playing God)을 할 경우 인간에게 과연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그 어느 때보다도 생명
공학
자의 윤리의식이 요구되는 때이다.미국 케네디 윤리연구소장 리로이 월터스 유전정보 차별로 보험 혜택 소외자는 늘 듯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다는 발표로 세상이 떠들썩한 시기에 미국의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모델생물의 전체 게놈의 비교, 그리고 일부 인간 염색체를 통해 이뤄졌다. 독일 분자생물
공학
연구소의 로젠탈 박사는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염색체 21번과 22번의 유전자 개수를 이용한 계산으로 사람의 유전자는 4만개 이하가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해 과학자들은 생물의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전정보가 속속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딜레마에 빠졌다.별다른 쓸모가 없어 보이는 DNA가 게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고등생물일수록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쓸모 없어 보이는'DNA.과연 이 DNA는 용도 폐기된 것일까.아니면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망원경의 두뇌를 제어하는 전자
공학
자는 물론, 망원경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기계
공학
자역할도 해야했다.선진국 같으면 망원경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팀과 그 망원경을 이용해 연구를 하는 팀이 따로 있다. 천문대의 연구원들도 대부분 학자로서 망원경을 이용해 연구를 하고 싶지만, 우리나라의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2차대전 이후 각국의 군사 정세와 역학관계의 변화에 따라 해군의 전략과 전술은 계속 변화되고 있다. 대규모적인 세계 전쟁이 국지적인 지역 전쟁으로 변하면서 해전 장소가 외해에서 연안으로, 작전 형태도 해군의 단독 작전에서 육군과 공군 및 해병대와의 통합 작전과 연합 작전으로 바뀌면서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정해놓았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정확하고 표현이 무미건조한
공학
계열 문서의 번역률이 매우 좋은 편이다. 제품의 사용설명서 등 비교적 문장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쓰여진 글들도 번역이 거의 완벽하다. 또한 기존의 번역기들이 좋은 번역을 얻기 위해 거의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있다.한편 좀더 실제적이면서 구체적인 방식으로 ‘가제트 프로젝트’를 연구하는
공학
자들도 있다. 독일 튀빙겐 대학의 닐스 비르바우머 교수팀과 스탠포드 대학의 러스티드 교수팀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 모니터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그들은 전신마비 증세를 앓고 있는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