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9,244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12
가급적 기억할 만한 사진이나 글, 메모를 꼭 남겨라. 그렇게 한다면 2007년 12월은 여느
해
와 똑같이 31일이지만, 여러분의 ‘2007년 12월’이라는 시간은 아주 빠르게 흘러가면서도 나중에는 훨씬 길게 기억될 것이다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
“누…, 누구세요?”바다를 너무나 좋아하는 노행운 씨. 혼자 배를 타고 낚시를 즐기던 중 거센 파도에 휩쓸려 배가 난파되고 말았다. 불행 중 다 ... 똑같은 모형선을 만들고,
해
양공학수조에 띄워 실험한다. 그래서
해
양공학수조는 배나
해
양구조물을 만들 때 꼭 필요한 중요한 시설물이다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
알레르기도 없애 주고 다이어트도 시켜주겠다며 한꺼번에 몸 속으로 들어오려고
해
서 놀라 눈이 떠졌어. 휴~, 꿈이었구나. 에일리언 같은 무서운 녀석들이 내 몸 속에서 꿈틀거리고 있다고 생각하니 아직도 식은땀이 줄줄 흘러. 하지만 우리에게 도움도 된다니 정말 몰랐는걸? 무조건 무서워만 할 건 ... ...
여왕이 성(性)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12
미국 미시건주립대의 곤충학자인 캐티 와튼 박사팀은 주장했다. 이 사실을 증명하기 위
해
여왕벌을 특별히 지은 벌집에 가두고 실험했다. 처음에 여왕벌은 작은 크기의 방만 가득한 벌집에 갇힌 채 암컷이 될 알만 낳아야 했다. 4일 뒤에는 여왕벌을 다양한 크기의 방이 있는 벌집에 풀어줬다.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12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
해
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단순히 계절풍이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여름의 계절풍을 초래하는 우기(雨期) 혹은 우기에 내리는 비를 말하기도 한다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12
라이머씨는 “듀폰은 17년 전부터 플라스틱 원료를 석유에서 식물로 대체하는 연구를
해
왔다”며 “재생가능 원료 덕분에 2015년에는 8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이 날 것”이라고 예상했다.첨단 플라스틱의 특성을 이용한 아이디어 제품도 눈길을 끌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신개념 과속방지턱 ‘잠자는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12
보내거나 휴대전화 게임을 한다.□새 전화기로 바꾸거나 휴대전화 요금을 내기 위
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부모(또는 배우자)에게 거짓말을 한 적이 있다.□심심하고 시간이 나면 별다른 용무 없이 휴대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낸다.□휴대전화가 없는 나를 상상하기 어렵다.□수신 상태가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12
놓친다면 2010년 2월까지 최고의 관측기회를 기다려야 한다.화성의 공전궤도는 지구에 비
해
심하게 찌그러진 타원이다. 그래서 지구에 접근하더라도 시기에 따라 가까운 정도가 달라진다. 보통 15년 또는 17년마다 가장 가까워지는데 최근 화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던 때는 2003년이었다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12
잠을 잘 자야한다는 주장이다. 수면 습관은 사람마다 다르다. 하지만 숙면을 취
해
야 건강하다는 점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사실이다. 이제 시끄럽게 아침을 뒤흔드는 자명종을 버리고 빛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아침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과학동아몰(http://www.scimall.co.kr/)은 닥터라이트를 독점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12
씨앗의 싹을 틔워 뿌리와 줄기가 자라는 모습을 텔레비전 방송을 통
해
보여줄 계획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인개발단 최기혁 단장은 “중력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식물의 뿌리와 줄기가 자라는 방향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도 되지만 앞으로 무와 콩을 우주에서 직접 길러 먹을 수 있는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