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판명됐다. 퀴리 부부가 발견한 이 물질은 자연계에 소량 존재하지만 세계에서 한 해
100
g 정도가 원자로나 우라늄 광산에서 생산된다. 방사능: 불안정한 폴로늄 동위원소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 같이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입자를 내놓는다. 이는 독성이 강한 방사성 동위원소인 라듐(Ra)보다 5000배 이상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아주 짧은 순간 발생해 얼굴에 나타나기 때문에 표정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이미
100
여년 전 프랑스의 신경학자인 뒤셴 드 브로뉴는 진짜 웃음과 가짜 웃음을 구분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눈 주위의 근육(눈둘레근)은 우리가 의도적으로 수축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가짜로 웃을 때는 눈 주위의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대리모실험’은 사랑과 접촉이 얼마나 중요한지 밝혔다.원숭이는 보통 15마리에서
100
마리까지 대가족을 이루고 산다. 갓 태어난 새끼 원숭이를 가족에서 격리시킨 뒤 행동을 관찰하자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새끼 원숭이의 눈앞에는 두 마리의 가짜 원숭이가 놓여있다. 한 마리는 온몸을 철사로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일이 관건결맞는X선연구단은 미시세계를 열어줄 레이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분자는
100
펨토초마다 한바퀴씩 회전한다. 1펨토초는
100
0조분의 1초라는 매우 짧은 시간으로 빛조차도 0.3마이크로미터(㎛, 1㎛=10-6수식m)밖에 이동할 수 없는 시간이다.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핵 주위를 한 바퀴 도는데 ... ...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황금돼지를 찾으려면 돼지에 대해 아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 흠…, 어디 보자. 오! 그저 돼지라고 만만하게봐선 정말 안 되겠는걸? 1. 돼지는 ... 새끼를 낳을 수 있고 한번에 10마리쯤 낳는다. 그러니 어미돼지 한마리는 보통 5년 동안
100
마리 넘게 새끼를 낳을 수 있다 ... ...
독일의 커다란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에펠스베르크라는 조그만 마을에는 지름이
100
m, 면적이 축구장 4개 에 맞먹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이 있습니다. 마을 어귀에만 가도 커다란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지름 300m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크기를 자랑하는 이 전파망원경은 당시나 지금이나 독일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속은 불과 50m도 내려갈 수 없다. 10m씩 내려갈 때마다 1기압씩 높아지는 수압 때문. 때문에
100
여 년 전까지 바다 속의 지형을 나타낸 해저지도(아래 그림)를 만드는 것은 꿈도 꿀 수 없었다. 하지만 강력한 수압을 이겨낼 수 있는 잠수함들이 개발되면서 바다 속 지형도 지도에 담을 수 있다. 지도를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직접 관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행성이 내는 빛은 항성이 내는 빛의
100
만분의 1도 안된다.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 찾기를 ‘서치라이트 옆의 반딧불이 찾기’라고 하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적외선을 사용하면 행성과 항성의 밝기 차이가
100
0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관측이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재현하는 것과 같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뤄진 뒤 3~5일이 지나면 배아의 세포는
100
~200개로 늘어난다. 이 단계를 배반포기라고 하는데, 태아를 만드는 세포와 태반을 만드는 세포가 함께 존재한다.2~3주 뒤 배아는 분화를 시작하며 3종류의 세포층으로 나뉜다. 가장 바깥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 시작은 당뇨병에 걸린 사람에게 필요한 인슐린을 돼지로부터 추출한 일이다. 불과
100
년 전만해도 당뇨병은 불치의 병이었다. 당시 당뇨병에 걸린 환자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갈수록 쇠약해지고 끝내 혼수상태에 빠져 죽었다.1921년 캐나다 토론토대 외과의사 프레데릭 반팅이 개에서 인슐린을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