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해 지정된 제주도 동백동산습지를 비롯해 총 17
곳
의 람사르 습지가 있다.keyword 3 PIP 가슴에 든 시한폭탄 프랑스의 실리콘 보형물 생산업체 ‘폴리 앵플랑 프로테즈(PIP)’사가 공업용 실리콘으로 가슴성형 보형물을 만든 사실이 밝혀져 커다란 분노를 일으켰다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위에콕 하고 박혀있지 않아. 지금 자북극(N극)은 자전축상의 북극에서 500km 이상 떨어진
곳
에 있고 매년 55km의 속도로 러시아의 시베리아를 향해 이동하고 있어. 1989년 전까지만 해도 매년 15km 속도로 이동했는데, 최근 들어서 속도가 더 빨라졌어. 또 자기장 세기를 측정하기 시작한 150년 전부터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들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몸의 여러
곳
이 동시에 가려울 때, 한
곳
만 집중하면 다른
곳
의 가려움은 잘 느껴지지 않는 것도 좋은 예다. 2005년 독일 괴팅겐대의 제레미 힐 박사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특정 높이의 소리에 집중할 때 발생하는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특히 탐구영역과 수리영역이 중요해. 내신도 마찬가지야. 수학과 과학에 가산점이 있는
곳
이 많아. 이제 곧 3월 학력평가를 보게 될 거야. 아마 점수가 잘 나올 거야. 중요한 건 재수생들이 함께 시험을 보기 시작하는 6월 학력평가야.”M학생은 학력평가에서 수리영역 2~3점짜리 문제를 다풀지 못했다.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글라이더처럼 활강하기만 했을 겁니다. 그렇지만 이카루스는 더 높게 날아 태양 가까운
곳
까지 올라갔다니 그저 펼치는 게 아니라 새처럼 퍼덕퍼덕 날갯짓을 했다는 말입니다. 양쪽 팔에 날개를 달고 한번 날아볼까요?날고 있는 새는 지구가 새를 당기는 힘인 중력과 새를 위로 뜨게 하는 힘인 ... ...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변 상황이나 몸의 내부 환경, 기억이나 지식, 미래의 예측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곳
이다. 전두 연합령은 이런 정보 가운데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골라 그 정보를 바탕으로 행동이나 감정을 적절히 조절한다.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고르는 것이 ‘선택적 주의’ 기능이고, 행동이나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이탈리아!세계 여러 나라 중 이탈리아만큼 도시마다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는
곳
도 드물다. 그 중에서도 로마는 그리스로부터 이어진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는 도시다. 특히 콜로세움이나 판테온 등에서 건물 전체의 하중을 받치는 아치 구조를 쉽게 볼 수 있다.로마 제국이 멸망한 ...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한다고 주장했죠.그 지능을 지구 정복에 쓰면 어떻겠니?우리는 다리에 편지를 묶어 먼
곳
에 있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전해 주며 사람들과 친해졌어요. 지금은 평화의 상징으로 사람들이 우릴 사랑하고 있고요. 이런 사람들을 우리가 배신할 순 없어요. 우린 사람들과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고 싶어요.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척비척 걸어 제 방으로 옵니다. 부모님이 출근 준비를 하실 동안 더 자기 위해 조용한
곳
을 찾아오는 것이죠. 낭낙이는 저의 게으름이 만족스러운 모양입니다. 녀석은 하루에 16~17시간 정도를 잡니다. 나이가 들며 수면시간이 조금씩 늘어나더니 지금은 하루 대부분을 잠으로 보냅니다. 어릴 땐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큰 잠자리채처럼 생긴 채취도구와 시료병을 들고 나섰다. 채취도구로 수생 식물이 있는
곳
부근의 물을 긁듯이 퍼 올리자 그물에 민물새우와 잠자리 유충 등 손톱보다 작은 동물들이 딸려 올라왔다. 둠벙 바닥 쪽에서 채취하자 더 많은 동물이 올라왔다. 식물도 여럿 보였다. 추운 겨울에 이렇게 많은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