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밀은 꽃잎의 굴곡에 있어요. 자세히 보면 장미의 꽃잎에는 울퉁불퉁한 굴곡이 있어요.
작은
장미가 진해 보이는 건 여기에 그림자가 지기 때문인데, 쭈글쭈글하던 꽃잎의 미세한 굴곡은 잎이 크면서 완만하게 펴진답니다. 송이는 늘리고, 가시는 없애고!가시가 난 줄기 끝에 뾰족한 꽃잎의 꽃 한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비례식 -1:1=1:-1에 대해서 “-1이 1보다
작은
데 어떻게 큰 것에 대한
작은
것의 비가
작은
것에 대한 큰 것의 비와 같을 수 있는가?”라면서 음수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음수는 답으로 인정할 수 없다!‘산술’은 250년경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알렉산드리아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저서다. 방정식 문제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큰 사각형의 가로줄과 세로줄 모두 1에서 9까지 숫자를 한 번씩만 써서 채우게 돼 있고,
작은
사각형도 1에서 9까지 숫자가 겹치지 않게 채워 넣도록 돼있어요. 이 규칙에 맞게 빈칸에 들어갈 숫자만 알아내면 돼요.”“정말? 그럼, 나갈 수 있는 거지? 빨리 해 봐. 내가 조수 하나는 잘 뽑았어.”도형이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설명이다. 이 때문에 A. 가위바위보에서 이기려면 보를 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비록
작은
차이지만 바위를 내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알고 첫 판에서 보를 내면 가위바위보의 승률을 높일 수 있다.가위바위보는 한 판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 판을 이어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 판을 대비하는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는가 하면 ‘1+1’과 같은 끼워팔기도 볼 수 있습니다. 칫솔 5종 세트를 사면
작은
치약 하나를 끼워 준다든가, 10묶음짜리 두루마리 화장지를 사면 덤으로 하나를 더 얹어 주는 식이지요. 구매 빈도가 낮은 음식물처리기에 라면과 같은 생필품을 끼워 팔기도 합니다. 심지어 모 할인점에서 선풍기에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주에서 열린 ‘2009 가상 재활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연구팀이 만든 장비는
작은
지팡이처럼 생긴 조이스틱과 3차원 햅틱기기를 핵심으로 한다. 시각 장애인은 이 장비를 만지며 낯선 복도나 길거리를 지팡이나 손으로 더듬으며 걷는 효과를 얻는다. 여러 사물이 지닌 저마다의 촉감을 디지털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보이지만
작은
명주실이끼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작은
명주실이끼는 길이 2~3cm의 적자색 홀씨주머니가 곧게 서는 특징이 있다. 배율은 60배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여러 개를 일렬종대(一列縱隊)로 이어붙인 새 장비를 제작할 계획이다. 내시경 하단에는
작은
다리를 달아 특정 부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전체 형태는 지네를 닮은 셈이다.문제는 이렇게 되면 부피가 커져 ‘고통 없이 진단 받는다’는 캡슐형 내시경의 최대 장점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2m 이내에서 대화를 나눌 때가 가장 크다.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배출되는
작은
침방울과 콧물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다량 섞여 있다. 환자로부터 반경 2m 이내에서는 이 분비물들이 그대로 우리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얼굴이나 손 등에 묻을 확률이 크다. 역학 조사 시 환자와 반경 2m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이유는 풍선혈관확장술을 할 때 생긴
작은
상처에 세포가 증식하기 때문이다. 혈관재협착 증상에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제가 없다. 다행히 최근 경북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인규 교수팀은 ‘MB12066’이라는 물질을 넣으면 종양 억제 유전자인 p53이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