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몸에 넣어서 면역계에 대비책을 미리 세우도록 하는 것이다. 바이러스에 대한
생물
· 의학적인 연구들이 새로운 백신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 백신을 만드는 일 역시 어려운 일이지만 감염증의 치료법은 더욱 힘들다. 이번 사스바이러스처럼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백신 개발에부터 힘을 ... ...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품종이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GMO(유전자 변형작물,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다른
생물
의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원료로 제조된 식품 역시 안정성에 논란이 있다. 양성자 빔에 의한 품종개량은 원하는 유전형질을 손쉽게 만들면서도 이것이 품종으로 ... ...
4 원자 단위로 물질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한다. 바로 ET(환경기술)에 해당하는 영역이다.BT - 단백질 기능 규명의 주요 도구21세기
생물
학의 시대에는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기능을 갖는지를 이해하려는 연구가 중심에 있다. 인류의 질병은 단백질의 기능이 잘못되면서 발생하거나 또 외부의 새로운 단백질이 몸에 침투해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예일 수 있다.크게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아직도 논쟁중인 인류 진화가설 가운데 해양
생물
학자 앨리스터 하디의 수생유인원설은 인체에서 다양한 진화의 흔적을 관찰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인간이 진화 과정의 어느 일정 시간 동안 물에서 생활했을 것이라는 흥미로운 가설을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암석 사이를 조심스럽게 뒤져 공룡뼈를 찾다보면 어느새 참가자는 어엿한 지질학자와 고
생물
학자가 돼 있다. 이 코너에는 다양한 공룡의 뼈모습과 그들의 생태를 설명해놓은 그림자료가 많이 걸려 있다. 따라서 어린 지질학자들은 공룡뼈 찾는 놀이를 통해 한때는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에 대해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
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설립을 이루도록 힘쓰겠다고 다짐한다. 우리나라에 자연박물관 문화가 정착돼야
생물
다양성을 비롯해 자연에 대한 사람과 생명존중사상이 뿌리내리고 우리의 아름다운 자연과 환경을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받은 크릭 역시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물리학과 화학의 개념을 사용해
생물
학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왓슨의 ‘DNA를 향한 열정’은 이 시대 과학인들에게 그 이상의 감동과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 ...
가장 오래된 생명체의 DNA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무려 40만년 전 지구에 살았던 생명체의 DNA가 최초로 발견됐다. 덴마크 코펜하겐대의 에크케 빌러스레프 교수팀은 시베리아 동토층에서 40 ... 갖고 있다. DNA는
생물
이 죽으면서 작은 조각으로 쉽게 분해된다. 이번에 발견된 DNA는 고
생물
학자에서 과거로 통하는 새로운 창을 열어줄 전망이다 ... ...
떠다니는 병원 USNS 컴포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USNS 컴포트(Comfort)는 전투중에 미군 병력을 현장에서 치료하기 위해 설계된 병원선박이다. 12개의 수술실과 80개의 집중치료침실이 있어 한번에 1천명의 사상자를 취급할 수 있다. 화학적 또는
생물
학적 공격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치료할 수 있는 장비도 갖추고 있다.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목적지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지구 자기장은 먼 거리를 이동하는
생물
이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기준점이 된다. 예를 들어 철새가 자기력선의 방향인 남북 방향으로 많이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아울러 2001년 11월 영국의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빠귀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