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줄거리를 확인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인 책도 있어요. 2009년, 미국의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허먼 멜빌의 소설 을 이모지로 다시 쓴 을 출판했죠.책 한 권을 통째로 쓸 정도면 이모지도 언어라 볼 수 있는 것일까요? 영국의 언어학자 비비안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24시간 탐사 한 결과, 모두 1424종의 생물을 찾을 수 있었어요. 작년보다 56종 더 많은 수였지요. 그중에서는 식물이 612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이 427종, 그리고 조류 55종 등이 뒤를 이었답니다. 특히 참가자들은 전세계에서 광릉숲에서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멸종위기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두 은하가 충돌 후 하나의 은하 B14-65666로 합쳐지는 것을 관찰했다고 발표했어요.130억 년 전 우주에서 벌어진 천체 현상을 오늘날 관찰한 거예요. 이전에도 두 은하가 합쳐지는 모습을 포착한 적은 있지만 이번에 발견된 건 그중 가장 오래된 것이지요.2017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레베카 보울러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폰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2016년부터는 제가 만든 이모지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현대 미술 컬렉션에서 전시되고 있어요!Q제일 좋아하는 이모지가 무엇인가요?긍정적인 스마일리가 가장 이모지다운 이모지라 생각합니다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생태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기생충 457종에 관련된 연구 자료를 분석해 ‘2070년에는 기후변화로 주요 기생충의 3분의 1이 멸종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5~10%의 기생충이 기후변화로 멸종되면 이에 생태계가 타격을 받아 다시 기생충에게 영향을 끼치고, 결국 최대 30%까지 멸종할 수 있다는 ...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주장했어요. 실제로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는 1973년부터 1992년까지 남태평양의 마우케섬 주민들의 기생충 감염률을 30%에서 5%로 떨어뜨렸는데, 이때 알레르기 질환 환자는 3%에서 15%까지 늘었지요. 기생충에 감염되면 면역반응이 나타나 알레르기가 생기는 걸 막는데, 기생충이 ...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교수) 민촌충은 소고기, 갈고리촌충은 돼지고기를 통해 감염되는 기생충이다. 그런데 1980년대 후반, 충북대학교 엄기선 교수는 우리나라 국민의 소고기와 돼지고기 소비량이 비슷함에도 민촌충의 감염 비율이 5배나 높게 기록된 것을 발견했다. 그는 돼지의 간에 민촌충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용되나요?생태 연구에 사용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146명의 지사탐 대원들이 2016년부터 3년간 기록한 1896개의 자료를 분석해서 벌, 파리, 나비 등의 화분매개자가 어느 지역에 분포해 있는지 파악했어요. 또한, 서울 일부 서식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끊겨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지요. 서식지가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모르므로 당장 대응하기 어려워요. 모의 훈련에서 과학자들이 2019 PDC의 궤도 추정에 3년을 써야 했던 이유랍니다.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면의 생명체와 직접 충돌할 수도 있어요. 이중 어떤 현상이 가장 위험할까요? 2017년,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의 클레멘스 럼프 연구원이지름 15~400m 소행성 5만 개를 추락시키는 가상실험을 한 결과, 열과 돌풍이 일으키는 사망자 수가 가장 컸어요. 실제로 첼랴빈스크 사건에서 부상자들은 바깥에서 ... ...
이전4524534544554564574584594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