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뉴스
"
도움
"(으)로 총 8,05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
2019.07.04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뜻이다. 이는 물리학자들이 힉스 보손과 같은 알려진 메커니즘을 더 자세히 연구하는 데
도움
을 준다. 또 입자들이 새로운 현상을 일으켰을 때에도 연구 데이터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고광도 LHC 업그레이드에도 한국 연구팀이 기여하고 있다. 김 교수는 “2023년부터 시작되는 고광도 LHC ... ...
[뉴스페이스의 개막]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꿈꾼다(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촬영한 모습. ESA 제공. 마틴 우스터 교수는 “이 연구의 과학적인 목표는 농업에
도움
을 주는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농작물 생산량을 늘리는 방안을 통해 인류의 직면 과제인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스터 교수의 연구는 ‘지표온도모니터링(Land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 ...
얼음 속 화학반응이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산소와 결합된 산화철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산화철 형태는 미세조류 생산에 직접적인
도움
을 주지 못한다. 남극 봄철 로스해에서 나타나는 미세조류의 모습이다. NASA 제공 그런데 연구팀은 이번에 극지방의 얼음에서 미세조류의 성장을 돕는 철 이온이 방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극지방의 ... ...
美 과학잡지 “한국 과학계 집안싸움으로 IBS 미래에 먹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부의장)은 잡지와 인터뷰에서 “소수의 사람에 의해 시작된 데다 정치권의
도움
으로 진행이 돼 왔다”라며 “중국 등 국가의 뛰어난 연구자들과 경쟁하려면 강력한 연구단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IBS의 필요성과 구조, 정체성 등에 대해서는 과학계 내부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했다.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않는 것도 좋다.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수면위생법'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
이 된다. 처음에는 습관을 고치기가 힘들더라도 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일어나 활동해야 한다. 뇌 시계를 눈에 빛이 들어오는 시간으로 설정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규칙적으로 기상하면 불면증을 예방할 수 ... ...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성장과 두뇌 크기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뇌 발달과 관련된 질환을 이해하는 데
도움
이 될 전망이다. 오우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소장과 홍규상 신경과학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태아의 신경발달 과정에서 신경줄기세포의 염소이온채널 ’아녹타민1’이 뉴런을 특정 ... ...
세계경제포럼 ‘2019년 젊은 과학자’ 21명에 서울대 교수 3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방법을 연구한다. 스트레스와 먹는 행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비만을 막는 데에도
도움
이 될 것으로 WEF는 기대했다. 김영민 교수는 증강현실(AR)이나 로봇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3차원 센서를 이용한 3차원 가상 모델링에 대해 연구한다. 인간과 로봇이 소통할 수 있게 돕는 게 목표다. 신용대 ... ...
우리은하가 심장에 ‘막대 구조’ 품은 이유 “은하단 충돌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기존의 가설을 뒤집는 새로운 탄생 원리를 제시했다. 은하의 탄생과 진화를 밝히는 데
도움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윤용민 연구원팀은 막대나선은하의 막대구조 1377개를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은하가 수천 개 모인 천체인 ‘은하단’의 충돌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국내 연구팀이 발견했다. 작동 원리까지 자세히 밝혀, 고성능 장수명 배터리 개발에
도움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육종민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박재열 연구원팀이 현재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는 ‘나트륨(소듐) 배터리’의 전극 소재로 황화구리를 제안하고, 그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