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능 실력 진단해줄 도우미 수학 모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분할과 통합 거쳐
전체
모습 그려내우리가 접하는 각종 자료는 대부분 불확실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특별히 계획해서 수집한 자료가 아니라면 얻고자 하는 정보의 일부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부분 정보들을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생성된 유전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가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유
전체
정보센터는 현재 미 NCBI가 보유한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총 1천2백만여건의 유전정보를 재가공해, 이 가운데 2백만-3백만건을 국내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와있다. 센터는 또 게놈 연구에 필요한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분야에만 투자하지는 않는다. 기초기술 분야로만 한정해도 민간기업의 연구자금이 국가
전체
의 기초기술 분야 투자액의 36%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일본이 10년에 걸친 장기불황을 겪으면서 연구투자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는 해도 세계 최고의 연구투자 수준을 지키고 있다. 물론 최근에는 기업들이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스스로 사멸한다. 그러나 암세포는 주변세포에 아랑곳없이 세포분열과 성장을 지속시켜
전체
적인 균형을 파괴한다.암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세포사멸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세포가 바로 암세포인 것이다. 따라서 세포사멸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은 암세포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도입되었는데, 이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임의의 전자기장 내에 있는 힘의 작용
전체
를 나타낸다 로렌츠는 이 힘을 가정함으로써 물질의 밀도 · 분자량 · 굴절률 등 전자기적 · 광학적 성질의 설명에 성공했다 1793~1856 러시아의 수학자 유클리드의 평행선 공리와는 관계없이 기하학의 체계를 세우고(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가 국내에서도 시작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한편 국립보건원 유
전체
연구소의 김규찬 박사팀은 한국인 수백명의 특정 부위 염기서열을 모두 결정해 한국인 특이의 SNP를 발굴하고 각 염색체의 일배체형을 결정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생명공학벤처회사인 마크로젠은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주장을 네이처에 게재했다. 퀴스트 박사는 ‘리버스 PCR’이라는 방법을 썼는데, 이는
전체
유전자풀에서 특정 유전자만 선택적으로 골라 그 양을 증폭시키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퀴스트 박사는 자신의 결론을 뒷받침할 유리한 유전자만 증폭시키고 나머지는 무시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GMO에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스페이스 월드’를 경유해 신설된 달 기지 ‘뉴프론티어 단지’에 도착할 예정입니다.
전체
여행시간은 5시간입니다. 처음 타신 분들을 위해 여행 팁을 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주엘리베이터가 떠오르면 반드시 창밖을 내다보며, 지구가 점차 둥글게 보이고 하늘이 푸른색에서 검은색으로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해양 실험실에서는 1백60㎢ 규모의 대양에 황화철을 뿌렸다. 4-5일 후 연구원들은 대양
전체
가 녹색으로 변해있는 것을 목격했다. 철이 뿌려진 바닷물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토플랑크톤이 보통 바닷물에서보다 5배나 빠르게 번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이 철비료 기술 개발 역시 미 ... ...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모양, 배치에 상관없이 점의 개수에 따라 반응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 하나가 원숭이의
전체
뇌와 똑같은 수 감각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한편 연구팀은 큰 개수의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작은 개수의 차이를 구별할 때보다 더 많은 신경세포를 사용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예를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