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7호
- 그림6) 안쪽 눈꼬리는 눈확의 아래모서리에서 약 11mm에, 가쪽 눈꼬리가 약 13mm 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눈의 전체적 모습이 약간 올라간 형태로 보인다(그림 7). 코뼈구멍과 코너비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관계가 있었다(그림8). 다만 쌍꺼풀이나 귓불처럼 세밀한 얼굴구조와 머리뼈 ...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과학동아 l2001년 07호
- 때문이다.그 중 하나가 폭포. 천지연, 정방, 천제연 제주 3대 폭포가 모두 제주 남서쪽에 위치한다. 왜일까.당연한 말이겠지만 폭포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절벽이 있다. 그렇다면 남서쪽에만 절벽이 있을까. 맞다. 제주도 남서쪽 지방은 전체적으로 약간 솟아올랐다. 좀더 학문적으로 표현하면 융기한 ... ...
-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과학동아 l2001년 07호
- 마지막으로 실제 동적인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모델링된 물체의 위치와 형태를 바꿔가면서 여러번 렌더링하면 다양한 형태로 움직이는 동영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영화 ‘타이타닉’에서 컴퓨터 그래픽스로 처리된 타이타닉호의 생생하고도 실감 넘치는 침몰 장면은 이와 같은 ...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이상 소모한다거나 (실제로 이런 사람들이 있다!), 베개를 제자리에 놓고 자기 위해 베개 위치를 고치다가 밤새 잠 한숨 못자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사랑하는 사람과의 어색한 키스강박증에 대한 예제 화면으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만큼 더 좋은 자료도 없지만, 약간 납득이 가지 않는 ...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반면 귀는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 귀에 들어온 소리의 차이로만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위치를 찾는 데는 눈이 더 뛰어나다. 인간의 대뇌 피질의 약 1010개 신경세포 중 절반이 시각을 담당하고 청각은 이보다 훨씬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시각이 청각보다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과학동아 l2001년 06호
- 테헤란밸리에 이어 우리나라 벤처업계의 새로운 메카로 부상하고 있는 대덕밸리에 위치한 미생물 전문 기업이다. 41명의 직원에 지난해 36억원 매출을 올린, 겉으로 보기엔 그렇게 눈에 띄는 규모가 아닌 회사다.그러나 인바이오넷은 지난해 모기업의 부도로 주인을 잃은 한효과학기술원을 1백8 ...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지구 바로 바깥쪽 행성, 화성. 특유의 붉은 빛 때문에 오랜 옛날부터 전쟁의 신으로 불렸고, 오늘날에는 끊임없이 외계인의 논쟁이 일어나는 행성.화성이 13년만에 다시 ...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방법은 소행성이 날마다 조금씩 위치를 바꾸는 점에 착안하면 된다 ...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가진 유일한 나라가 됐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에설 좋은 기회를 잡은 셈인데, 앞으로 차세대 암호시스템의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한편 연구실은 영재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왔는데, 1990년대 초부터 세계수학경시대회 ...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위성항법장치(GPS), 항법소프트웨어 등을 갖춘 것이다. 전자지도에 운전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해주는 것은 물론 필요할 경우 최단경로, 최적경로로 목적지를 안내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해 쾌적한 운전환경 제시는 물론 더 나아가 도로이용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 ...
- 거울 보는 돌고래?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밝힌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 정답은 ‘예’이다.미국 뉴욕주 브룩클린 수족관에 위치한 오스본 해상과학연구소의 다이애나 레이스 연구팀은 수컷 돌고래 두마리가 수족관의 벽면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반사 행동을 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애틀랜타 에모리대의 로리 마리노 ... ...
이전4514524534544554564574584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