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해주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아프리카 사람들이 땅에 굴리며 갖고 다니는 커다란 물통 사진 본 적 있죠? 그런 게 바로 적정기술입니다(서울대 공대는 12월 2일 적정기술 컨퍼런스를 열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다른 방향의 접근이 필요하죠. 서울대가 있는 관악구와 협력해 공부방을 지원하는 것도 좋은 ...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위치에 따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여러 모양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사진을 찍는 것은 물체의 정사영을 찍는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골대 크기는 변하지 않아도 공이 어떤 각도로 들어가느냐에 따라 골대의 정사영이 달라진다. 공이 바라보는 골대의 크기가 달라진다. 은 ...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수학동아 l2012년 01호
- 페이스북 역시 트위터처럼 휴대기기에서 사용하기 좋다. 그렇지만 상대방이 올린 글과 사진 등을 보려면 싸이월드의 ‘1촌’처럼 서로 ‘친구’가 돼야 한다. 관심 있는 사람에게 친구 신청을 하고 상대방이 허락해야 친구가 올린 정보를 볼 수 있다.트위터에는 페이스북의 ‘친구’나 싸이월드의 ... ...
- 수학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 우표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안녕하세요, 표지에서 인사드린 용 남매입니다. 여긴 어쩐 일이냐고요? 수학동아에만 전할 특별한 우표 이야기가 있어, 우표를 타고 급히 날아왔지요. 2012년 용의 해를 맞아 우리 남매가 ‘수학동아 기념우표’ 모델로 지정됐거든요.우표랑 수학이 무슨 상관이냐고요? 모르시는 말씀! 우표에 재미있 ...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❶라면의 인기를 파악하라 !라면으로 지구 4000바퀴!라면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먼저 라면이 전세계 사람들에게 얼마만큼 사랑받고 있는지부터 아는 게 순서지. 2010년 한 해 동안 전세계에서 판매된 라면의 양은 약 1000억 개! 이건 세계라면협회(IRMA)의 통계 자 ... ...
- 르네상스 걸작에서 찾은 원근법수학동아 l2012년 01호
-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기능으로 치면 사진이 더 정확하고 손쉬웠기 때문이다.그림은 사진과 무엇이 다른가? 차츰 회화란 현실 세계의 닮은꼴이나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거울이 아니라, 나름의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제 화가들은 현실보다는 자신의 생각과 이념을 ... ...
- 새해 가족 미션, 십이면체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와~! 드디어 1월 1일, 2012년의 첫 날이에요.”“새해 첫 날, 이렇게 가족 모두가 모이니까 참 좋구나. 하하! 1월엔 하나 생일이 있지? 10일이 생일이니까 올해는 화요일이구나.”“맞아요! 생일 선물 꼭 사 주셔야 돼요!”“물론이지. 그나저나 오늘은 새해 첫 날이니까, 우리 가족만의 특별한 달력을 ...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저는 롱다리예요. 다리가 짧은 동물들에게 희망을 주려고 비밀로 했을뿐이에요. 제 X선 사진(162쪽 올백사이언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토끼걸음을 하듯이 무릎을 굽힌 상태로 다닌답니다. 다리 대부분이 털과 살에 가려져 다리가 짧아 보이는 거죠.어두운 곳에서도 시력이 좋다고?사람들은 제가 낮에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연말이 되면 집 앞 보도블록을 바꾼다. 멀쩡해 보이는데도 바꾼다. 그렇지만 정작 동네에 필요한 도서관이나 공부방은 턱없이 부족한 것 같다. 보도블록을 바꾸는 대신 차라리 도서관을 짓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이런 때 막연한 이유 대신 숫자로 설명하면 좋을 텐데….이런 생각에 경제학자들은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1월 1일 새해가 밝았어.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 되고, 학교는 1학년부터 시작되지. 이처럼 숫자 1은 시작을 의미한단다. 이번 달에는 시작의 설렘을 안고 숫자 1에 담긴 수학 이야기를 만나 보자. 출발!제1코스 티끌 모아 태산, 자연수 집합을 만드는 1숫자 1은 일종의 티끌이다. 무슨 말일까? 1에 ... ...
이전4514524534544554564574584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