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한참 동안 P에 매우 가까운 알고리듬만 알려져 있었지요.그런데 2002년 인도 칸쿠르 공과대학에 갓 입학한 두 학생 니라지 카얄과 니틴 삭세나, 그 지도교수 마닌드라 아그라왈이 n자리 자연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어떤 상수 C에 대해 Cn12번 안에 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매일 시내에 있는 삼성전자 컴퓨터 전시장에 출근도장을 찍었죠. 삼성과의 인연은 대학에서 다시 이어지는데, 과학기술대가 생긴다니까 삼성에서 컴퓨터 수십 대를 기증한 거예요. 아직도 모델명이 생생히 기억납니다. SSM16!”그때 그 기사 컴퓨터는 당시 모든 학생들의로망이었다. 특히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선마우스의 출현, 그 다음은 사람…?“그거 너무 징그럽지 않아요?”이번에는 대학이나 실험실에서 오간 대화가 아니다. 과학동아 편집부 회의에서 광유전학 실험용 쥐에 대한 한 기자의 반응이었다. 실제로 기자가 취재 과정에서 직접 본 쥐들의 모습은 그리 유쾌한 모습은 아니었다. 원래라면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오늘도 골수를 찾은 수많은 면역 줄기세포 여러분 반갑습니다. 대학 입시 설명회다, 신년회다 하면서 인간들이 바쁠 시기인데요. 이리저리 돌아다니느라 찬바람을 잔뜩 쐐 감기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장차 면역 세포를 꿈꾸는 줄기세포들에게도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오늘도 입시 경향을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꼭 가고 싶다는 ‘동기부여’가 됐다고 가정해보자. 그 다음은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 대학에 합격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이것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지막 단계는커녕, 동기부여에서 그대로 멈춰버린다.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비용이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전략을 바꿨다. 교통이 편리하고 대학이나 기업과 인접한 곳에 연구소를 지어 우수한 과학자를 유치하겠다는 것(유럽이나 한국이나 도심에서 먼 곳에 가기 싫어하는 심리는 비슷한가 보다). 영국 의료연구협의회(MRC)와 국립의학연구소(NIMR),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십 대의 컴퓨터를 사용할 정도로 매우 어렵답니다.비트코인은 이미 신문 구독료, 대학 등록금, 호텔비, 온라인 쇼핑 비용 등을 결제하는 데 사용되고 있어요. 2013년 미국의 한 부부는 비트코인만으로 해외여행에 성공해 화제가 되기도 했지요.비트코인의 큰 장점은 은행이나 카드사가 끼어들지 ... ...
- [과학뉴스] 오줌으로 만드는 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웨스트잉글랜드 대학교 이로폴로스 교수팀이 오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내는 웨어러블 발전기를 만들었어요.양말처럼 신을 수 있는 이 발전기는 미생물 연료전지와 오줌 순환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요. 오줌 순환 장치는 사용자가 발을 디딜 때 생기는 압력을 이용해 미생물 연료전지로 오줌을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배 교수는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 연구를 촉진하는 자극제가 되고, 기존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대단히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표준모형의 대칭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몇 년 연구를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 ...
이전4514524534544554564574584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