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레이더로 궤적을 추적한 뒤(자동레이더궤적표시기), 안전한 경로를 계산해 보여준다. 모든 위험이 사라지면 원래 항로로 복귀하는 최단경로를 제시한다.하지만 첨단 장치들도 오랜 세월 이어져 온 현장의 지혜 앞에선 초라하다. 바다는 늘 변수가 많다. 0.1m 단위까지 표시된 상세한 해도와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세포소기관이 됐다는 이론이다.지금까지 연구결과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합성을 하는 모든 진핵생물은 최소한 10억 년 전 단 한차례 일어났던 내공생에서 비롯됐다. 즉 이들이 갖고 있는 엽록체는 당시 잡아먹힌 한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에서 기원한 것이다.그런데 지난 2006년 미국 아이오와대 ... ...
- 낙엽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온 학생도 있었다.원래 확실한 꿈이 없었던 김희진 학생은 1학년 여름방학 때 ‘지상의 모든 음식은 어디서 오는가(게리 폴 나브한, 아카이브)’라는 책을 읽고 농업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졌다. 그렇지만 막연한 꿈이었다. 그런데 자연사랑반에서 낙엽을 이용한 버섯재배를 하면서 버섯에 관심을 ... ...
- 구성이 탄탄해야 설득력이 생긴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근거와 사실, 즉 팩트(Fact)를 수집합니다. 팩트를 수집하는 과정을 흔히 취재라고 하지요. 모든 과정이 매끄럽게 연결될 때 비로소 좋은 기사가 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준비를 잘해도 기사의 구성이 어설프다면 관심을 끌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과학 기사는 다소 어려운 과학 이론과 법칙을 ...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잃은 듯 보였다.이렇게 커다란 배는 평소에 어떻게 중심을 유지하는 걸까?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배가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배를 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인 부력 덕분이다. 지구에서 배를 잡아당기는 중력과, 물 위로 띄우는 부력의 ...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되면 조건에 맞게 나머지 칸을 채우는 경우가 단 2가지뿐이므로, 모든 경우의 수는 (4!)²×2=1152가 된다.숫자 4는 숫자와 전혀 상관없는 한자의 죽을 사(死) 때문에 피해를 입어왔다. 엘리베이터에도 당당히 쓰이지 못하는 등 설움을 받고 있지만, 사실 숫자 4는 자연수 중 가장 ...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원주율 숫자를 딴 3월 14일 오후 1시 59분에 시작하니까 늦으면 안 돼요!특별한 수 π의 모든 것!5, 4, 3, 2, 1! 3월 14일 1시 59분, 카운트다운과 함께 파이파티가 시작됐다. 고등과학원에서는 올해로 3년째 원주율 π의 숫자를 딴 3월 14일을 ‘파이데이’로 정해 수학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수학자의 ... ...
- 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무엇일까. 그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이 독은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이번 특집에 이 모든 궁금증에 대한 답을 담았다. 지금부터 ‘독한 독’의 세계로 빠져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Part2. 최강 독 TOP 15Bridge. 뇌출혈부터 ...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연구기관을 방문해 수학자들을 만날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죠. 또한 매달 수학동아의 모든 기사와 만화를 읽고, 소감문을 작성하는 것은 물론 수학 뉴스를 전하게 됩니다. 또한 수학동아 홈페이지와 카페, 블로그 등에서도 활동하게 됩니다.이제 독자기자단의 끼와 재능을 엿볼 시간입니다. 바로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심해지면 대각선과 로렌츠곡선 사이의 면적은 커지므로 지니계수도 커진다. 만약 모든 소득을 한 사람이 다 차지하면 지니계수는 1이 된다. 즉 이론적으로 지니계수의 값은 0과 1사이고, 소득불평등이 심해질수록 지니계수의 값은 커진다.한 국가의 국민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선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