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높답니다.나무 표면이 매끈한 생강나무생강나무는 가지를 꺾거나 잎을 손으로 비빈
뒤
냄새를 맡으면 생강 냄새가 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봄에 꽃을 피우는데 산수유와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꽃줄기가 산수유보다 짧고 여러 송이가 뭉쳐 자라기 때문에 동그란 공에 더 가까운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없었고, 알고 있는 직업도 별로 없었어요. 생각의 폭이 좁았던 거지요.대학교를 졸업한
뒤
에는 ‘전략 컨설팅 회사’를 다녔어요. 컨설팅이란 다른 회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일인데,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직관과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력이 필요했어요. 여기에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00번 인용될 정도로 유명합니다. 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수십 번 실험한
뒤
한 번 성공한 것을 논문으로 썼을 수도 있고,의미 있는 결과를 내기 위해 입맛에 맞게 데이터를 변형했을 수도 있지요. 그 중 연구자가 잘 몰라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P-value’입니다.연구자들은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예를 들어 화면을 터치하면 원하는 콘텐츠가 나타나도록 하는 식이다. 프로젝트가 끝난
뒤
에도 의뢰인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프로그램도 만든다.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라온스퀘어의 문화는 이들이 만드는 광고에도 녹아 있다. 과거 한 모터쇼에서 ... ...
[수학동아클리닉] 신체의 선으로 기본도형 표현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신체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앞으로 많이 만들어지길 희망한다. 촬영이 모두 끝난
뒤
단체 사진을 촬영하면 중학교 수학 시간의 한 장면을 진한 추억으로 남길 수 있다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말 한마디에 안절부절 못하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경쟁의 일상화
뒤
에 드리워진 어두운 그림자과도한 경쟁적 분위기는 사회경쟁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예를 들어, 경쟁에 목매는 언론 환경이 불러일으킨 결과는 아주 치명적이다. 온통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기사가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고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신경세포에 침투한
뒤
어떻게 세포를 망가뜨리는지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자가 면역반응을 일으켜 스스로 자살을 하게끔 한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정부는 올해 안에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물질들이 만들어진
뒤
어떻게 변하는지 불과 1초 안에 일어나는 과정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무궁무진한 응용연구를 할 수 있다.Q : 가속기는 한국 과학계에 어떤 의미인가.A :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는 화석이다. 예컨대 나무 화석은 나무가 화산재나 모래 등에 덮인
뒤
오랜기간에 걸쳐 목질 부분이 석영으로 치환된 것이다. 겉보기에는 나무 같지만 실은 광물질이다. 흔히 알고 있는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화석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광물의 희귀성만큼 중요한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부드러워져야 하거나 몸이 부드럽고 인공 피부가 딱딱해져야 하는 최적의 시점을 찾아낸
뒤
, 그 시점에 인공 피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했다. 예컨대 걸을 때는 인공 피부가 유연해지고 설 때는 단단해지게 한 것이다. 허 교수는 이 기술을 소개하는 TED 강연에서 “내가 사용해 본 의족 중에 가장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