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높답니다.나무 표면이 매끈한 생강나무생강나무는 가지를 꺾거나 잎을 손으로 비빈 뒤 냄새를 맡으면 생강 냄새가 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봄에 꽃을 피우는데 산수유와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꽃줄기가 산수유보다 짧고 여러 송이가 뭉쳐 자라기 때문에 동그란 공에 더 가까운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제를 정해 이를 해결해 보는 것입니다. 주제가 정해지면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정리해 발표합니다.이 수업은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을 구하는 따분한 통계 수업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토론형 수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러자 남자가 당황했다.“아니, 저는….”“뭐 어쨌든 아저씨가 발명한 물건이 나온 뒤 세상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몰라요! 저도 수혜자이지요. 항상 감사하게 생각….”“아니라고!”단이 쉴 새 없이 떠들어대자 남자는 갑자기 소리를 버럭 지르며 들고 있던 사과를 단의 입에 쑤셔 넣었다. 단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들어있다”면서도 “폭발 자체를 관측으로 발견하기란 매우 어렵고, 대부분 폭발 몇 초 뒤에 방출된 빛(감마선과 X선)부터 관측한다”고 말했다. 중력파나 중성미자 관측소와 협업하면, 전자기파 망원경이 폭발 초기의 빛을 볼 수 있다. 천구의 극히 일부를 관측하는 전자기파 망원경과 달리,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천천히 지구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인공위성이 이렇게 궤도를 바꿀 때는 임무를 다 마친 뒤 스스로 소멸할 때다. 김 교수는 최근 우주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며 항력 돛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고 했다. 고도 450~700km 사이에는 전세계가 쏘아 올린 위성 수백 개가 아슬아슬하게 서로를 피해 궤도를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거나 먹는 행동을 반복하는 데 비해, 콜로부스 원숭이는 나뭇잎을 한번 많이 먹은 뒤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마치 코알라처럼, 나무 위에서 쉬면서 뱃속에 있는 나뭇잎을 발효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는 일부 원숭이들도 초록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 각각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부드러워져야 하거나 몸이 부드럽고 인공 피부가 딱딱해져야 하는 최적의 시점을 찾아낸 뒤, 그 시점에 인공 피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했다. 예컨대 걸을 때는 인공 피부가 유연해지고 설 때는 단단해지게 한 것이다. 허 교수는 이 기술을 소개하는 TED 강연에서 “내가 사용해 본 의족 중에 가장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반응했고, 이를 본 조테르만은 간지럼이 통각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뒤의 연구들도 간지럼은 통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죠. 그런데 1990년, 이와 반대되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신경질환국립병원의 피터 나탄 교수가 척수손상으로 통증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4년 UNIST에 파격 임용됐다.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는데, 백발이 된 뒤에나 할 수 있을 거라 예상했다. 감사하게도 기회가 빨리 왔다”며 “기업에서 일하는 동안 머리가 하얗게 셌으니 물리적으론 적절한 시기였다”고 너스레를 떨었다.현장에서 쌓은 실무 감각 살린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