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40여 개 극장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필수CG를 비롯한 영상 기술 개발에 종사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 앞서 이야기했듯이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필수다. 하지만 어느 한 가지만 잘 해서는 높은 곳까지 올라가기가 어렵다. “요즘에는 문과와 이과의 의미가 많이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열었다. 바로 미국 전역에 숨겨 놓은 10개의 빨간색 풍선을 찾는 대회다. 그런데 군사 기술을 연구하는 곳에서 아이들 놀이 같은 대회를 연 이유는 뭘까?사실 이 연구소는 인터넷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아르파넷’을 개발한 곳이다. 인터넷 탄생 40주년을 기념해 인터넷의 정보 확산 속도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포함된 대학은 나오지 않고 있다. 어떤 나라가 노벨상을 받으려면 그 나라의 전반적 과학기술 수준이 높아지는 일도 중요하지만 임계점과 한계를 넘어 세계 최정상이라 불릴만한 연구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나간 조각도 있습니다. 나로호 1차 발사 당시 궤도를 이탈해 위치를 찾을 수 없게 된 과학기술위성도 이제는 우주쓰레기입니다. 크기는 로켓에서 떨어져 나온 수mm 길이의 페인트 조각부터 수십m에 이르는 인공위성까지 다양합니다.이 우주쓰레기들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지구 주변을 돌고 있습니다. ...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국내 기술로 개발한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KUS-TR’이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수직이착륙 유인항공기는 이미 미국에서 실전 배치됐지만 무인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10월 17일 전남 고흥군 항우연 비행장에서 휴대용 무선 조종장치로 ‘KUS-TR’을 ...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평가받았지만 지금은 작지도, 큰 힘을 내지도 못하는 어중간한 엔진이 돼버린 것이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효율이 훨씬 개선된 4기통 엔진만으로도 소비자들은 만족한다.자동차 업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유하며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아온 5기통 엔진. 앞으로는 그녀들의 ‘5기통 엔진 춤’만이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원장이다. 현재 2013년 7월부터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부임한 정희선 전 원장을 만나 먼저 33년전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과학수사대의 길을 걷게 된 계기에 대해 물었다. “제가 숙명여대 제약학과를 다녔어요. 3학년인가, 4학년인가 학교에 국과수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투자해 개발하면 되겠지만, 마케팅 차원에서 꼭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산 비행기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메이드 인 코리아’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지만 폐 목재 등에서 상용화가 가능한 만큼의 셀룰로오스 분해를 성공한 사례는 없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분해하는데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채산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결국 산이나 알칼리, 열 등으로 셀룰로오스를 처리해 분자구조 변화를 살펴보는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도 스피루리나를 키웠다가 수확하는 체험을 직접 해볼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양식 기술은 개발했고, 이제 대량생산 시스템만 갖춰주면 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우리 연구센터 중심으로 열대해양네트워크를 주도하고 있는 것도 중요한 일이에요. 괌대학, 일본 고베대학, 태국 대학, 타이완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