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5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하나의 특정 집단 존재하는 각각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날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장
교수
는 “이번 연구는 크리스퍼 카스 시스템의 기능적 다양함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혔으며 정확한 DNA 삽입에 대한 하나의 패러다임을 정립한 것”이라며 “유전자 공학과 유전자 치료 연구를 바꿀 수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벌레 신경세포의 연결망 'WWW'
동아사이언스
l
2019.07.06
연구팀은 성별 간 비교를 통해 약 30%의 시냅스가 강도 차이를 보임을 밝혔다. 에몬스
교수
는 “이 네트워크는 예쁜꼬마선충의 신경이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밝히는 출발점 역할을 한다”며 “예쁜꼬마선충의 신경계는 인간 신경계와 같은 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인간을 이해하는 데도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아니루다 마줌다르 프린스턴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
는 와이어드와의 인터뷰에서 “연구 결과를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실제로 적용해 봤더니 훨씬 빠르게 작동해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최첨단 자율주행차와 ... ...
미세플라스틱의 93%플라스틱 제품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과거에 생산해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플라스틱을 관리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권
교수
는 "플라스틱 소재뿐 아니라 마이크로비즈(미세플라스틱의 일종)나 첨가제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아 상용화해야 한다"며 "사용한 플라스틱은 반드시 재활용하고, 일상생활에서도 1회용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
2019.07.04
학술지를 통한 연구논문 출판이 완전히 정착되지도 않았고, 과학자의 직업이 대학
교수
나 회사 연구원 등으로 고정된 것도 아니었다. 어떤 과학사가는 만월회 구성원인 웨지우드가 철학회보에 논문을 제출한 적이 있으므로 과학자이고, 볼턴은 그저 과학에 관심이 많았던 사업가라고 구획하지만, ... ...
[뉴스페이스의 개막]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꿈꾼다(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방안을 통해 인류의 직면 과제인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스터
교수
의 연구는 ‘지표온도모니터링(Land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으로 불리는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추진된다. 초소형 위성을 말하는 ‘큐브샛’을 활용한 신규 서비스는 이미 손가락으로 꼽기 어려울 정도로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
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사진. 뒤쪽에 보이는 장비가 당시 기계식으로 작동했었던 수면다원검사기기다. 김린
교수
제공 수면의학을 연구하는 주 목적은 수면장애를 해결하고 질 좋은 잠을 자게 해 궁극적으로 건강을 지키는 것이다. 수면의학은 의학 분야 중에서도 늦게 발달했다. 미국에서도 1950년대 렘수면이 발견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아무리 좋아도 1200dpi 수준이다. 잉크 방울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고
교수
는 해설에서 “예전에는 쓸모없다고 치부되던 현상을 이용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색을 내는 방법을 개발했다”며 “크레이징을 조절하는 방법은 투명 플라스틱 표면에 잉크 없이도 색을 입히는 것 외에도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현상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아스트리드 로젠탈 본데르푸텐
교수
는 "뇌에서 불쾌한 골짜기를 느끼는 영역과, 사람들마다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한 최초의 연구결과"라며 "안드로이드나 휴머노이드 등 사람과 닮은 로봇을 개발할 때 활용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상이 뒤틀리는 '회오리 빛'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연구를 하고 있다. 카를로스 에르난데스가르시아 스페인 살라망카대 응용물리학과
교수
와 로라 리고 박사과정연구원, 케빈 도니 미국 콜로라도대 물리학과 박사후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빛의 궤도각운동량을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수준의 미세한 시간차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