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한 가지 뿐이다. 이 주사는 약물을 콧속 점막에 뿌리는 스프레이 형태로 약물이
직접
순환기를 통해 들어간다.플루미스트는 주삿 바늘 없이도 독감을 예방할 수 있어 특히 아이들에게 좋다. 이희정(경기 성남시 서현동, 30세)씨는 “그동안 주사를 보면 아이들이 무서워 우는 통에 예방접종 때마다 ... ...
해양연 열대해양체험 이벤트 합격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본지는 올해 초부터 한국해양연구원과 함께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Chuck)에서 열리는 ‘열대해양체험프로그램’에 참가할 과학동아 독자를 모집했습 ... 보내드리겠습니다.[❶ 최오하 학생의 장필훈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원 인터뷰 모습. ❷ 신윤 학생이
직접
수중 촬영한 갯녹음 현상.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평가하고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제조업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재료로 디자인을
직접
주문받아 생산하는 날이 올 것이다. 생명 살리는 컴퓨터 그래픽수집한 영상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도 연구실의 주 연구 분야다. 지난 2003년에는 2차원 영상을 차곡차곡 쌓아 3차원 영상으로 ... ...
컴퓨터 시스템 설계학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벗어나 여러가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학생을 필요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을
직접
사용할 고객의 요구와 필요사항을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사람의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면 의외로 쉽게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완벽함을 추구하는 성격이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관련이 있다는 NASA의 발표는 과장이라는 반응이다. 실제 논문에도 외계생명체에 대한
직접
적인 언급은 없다.국내 전문가 사이에서도 이 박테리아를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2010년 12월 14일 한국 미생물학회는 공식 논평을 통해 “계통을 분류하면 할로모나스 속에 속하는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3ℓ를 담을 수 있는 측우기로 어떻게 정확하게 9ℓ를 담을 수 있을까? 게다가 3ℓ로는
직접
물을부을 수 없다. 정답과 해설1. 두 번째 단에 들어간 구리 조각이 6개이므로 첫 번째 단은 3개, 세 번째 단은 10개의 구리 조각으로 만든다. 따라서, 총 19개의 구리 조각이 필요하다.2. 측우기 부피 : (7㎝× ... ...
"제가 만든 변형 우노 게임이에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게임의 규칙 이해하기, 바꿀 수 있는 규칙을 생각해 보기, 규칙 변형하기, 변형 게임을
직접
해보고 반성하기의 과정을 순서대로 거치면서 변형 게임을 만들수 있도록 말이죠.각 모둠의 학생들은 재밌는 변형 게임을 만들기 위해 진지한 태도로 토론에 임했어요. 모둠마다 조장을 정해 조장은 토론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독후감처럼 자신의 감상을 적은 글도 있고, 책에 나오는 수식을 더 발전시키거나
직접
생각해낸 내용을 수식으로 정리한 것도 있다. 아예 탐구 보고서 형식으로 쓴 글도 있다. 이처럼 수학독서는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전체적으로 키워줄 수 있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유형 1. 감상적인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래에서 만들어진 공기기둥은 회오리가 돼 올라간다. 눈에 보이지 않아 관람객들은
직접
손으로 만져 바람의 형태를 느껴야 했다.칸은 1990년 미국 뉴욕 월드파이낸셜센터에서 초음파연무기(초음파로 액체를 기화시켜 안개를 뿜는 기기)와 블로워(일반 팬보다 10배 정도 강하게 바람을 내는 기기)를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꽃이 정해져 있지. 나비는 긴 대롱으로 깊숙한 곳에 있는 꿀을 빨아먹지만 우리 꿀벌은
직접
꽃에 달라붙어서 꿀도 빨고 온몸에 꽃가루도 묻혀가지. 사실 이런 방식은 1억 3000년 전 속씨식물이 처음 나왔을 때에는 정교하지 못했어. 하지만 여러 가지 곤충들과 지내면서 조금씩 서로 이익을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