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좌우뇌의 전환훈련법, 오감(五感)을 통한 두뇌개발법, 음악 운동 그림을 이용한 뇌력향상법에 대해 알아보자.뇌의 발달은 유전인가, 환경인가. 이에 대한 논란은 뇌력(腦力)향상의 가능성 여부를 가름한다. 학자들은 일관되게 "인간은 부모로부터 유전적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살아가는 동안에 ...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손가락계산법의 뒤를이어 수천년동안 셈법을 지배했던 주판. 그러나 주판기술을 중시했던 동양과는 달리 서구에서는 기계식 계산기의 발전이 꾸준히 이뤄졌는데···'계산중인 사람에게 악수를 청하지 마라.' 이집트의 파라오 시절에는 이런 이야기가 에티켓의 기본이 아니었을까. B.C.15세기경 이 ...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인간의 의식과 행동은 신경세포나 신경전달물질 분석만으로 해명되지 않는다.최근 많은 영화팬들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는 '사랑과 영혼'이라는 영화를 보면, 못다한 인연을 남겨두고 아깝게 죽은 한 남자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감동적으로 펼쳐지고 있다.이 영화를 볼 때 대다수의 관객은 영혼의 ...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난파직전의 에너지보존법칙을 구한 상상속의 소립자. 비록 그 존재는 확인됐지만···벌써 61년 전인 1930년 12월 어느 날 방사성동위원소의 전문가들이 독일의 튀빙겐 시내에서 작은 학회모임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그 당시 알려진 β붕괴(고등학교 물리시간 때 지겹도록 들은 알파 베타 감마선중 베 ...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흔히 장애자라 하면 '신체적장애'만을 떠올린다. 그러나 학교생활에 적응 못하는 학습문제장애아도 의외로 많다. 이들 중에는 영재아가 간혹 눈에 띄는데, 에디슨 아인슈타인 등이 대표적인 경우다.장애영재아(handicapped gifted)는 우리에게 참으로 생소한 용어다. 이들은 장애자(handicapped)이면서 동시 ...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1603년 조선에는 새로운 세계지도가 전래됐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1602년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온 것이다. 그것은 조선학자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타원형으로 그려진 세계의 서쪽에는 거대한 유럽대륙이 자리잡고 있었다. ...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문제(1) 우리의 온도감각은 과연 정확할까? 다음 그림처럼 세숫대야 두개를 준비해서 한쪽은 뜨거운 물(약 60℃)을 다른 쪽은 차가운 물 (약 10℃)을 붓는다. 여기에 양손을 담근 뒤 손의 감각이 무디어질 때쯤 되면 마른 수건으로 재빨리 닦은 뒤 미지근한 물이 담긴 대야에 손을 다시 담가 보자. 그리 ...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과학동아 l1991년 02호
- '${a}^{2}$-${b}^{2}$을 인수분해 하라'고 하면, 대부분의 중학생들은 대뜸 ${a}^{2}$-${b}^{2}$=(a+b)(a-b)이라고 대답할 수가 있다. 왜 그렇게 되느냐고 물으면,${a}^{2}$-${b}^{2}$=${a}^{2}$+ab-ab-${b}^{2}$=a(a+b)-b(a+b)=(a+b)(a-b)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할 줄 아는 '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성윤아.벌써 1월이 다 가고 있어. 새해라고 흥분해서 떠들던 목소리들도 이제 사라지고, 1991년이 차분하게 자리잡혀 가는 것 같아. 기분 좋기도 하지만, 벌써 우리가 '새로운 출발'에 무감각해져 버린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 시작이 반이라는데 새해 출발은 만족스럽니. 난 첫 1주일을 열심히 ...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자연의 모든 것은 먹고 먹히는 것들이다. 지난 1990년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생물학자인 존 글렌디닝씨와 링컨 브라우어씨는 식용성과 생존성에 관련된 매우 재미있는 사례를 발표했다.제왕나비를 생각해보자. 이 나비는 여러면에서 매우 특이하다. 첫째, 제왕나비는 ... ...
이전4494504514524534544554564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