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심장근육을 보호하는 생체효소인 아이노스(iNOS)나 콕스(COX-2)도 최근 개발 중이다. 이
물질
만 있으면 프리컨디셔닝을 받아 심장근육이 보호된 효과가 난다. 일종의 ‘반작용’을 응용한 것. 연세대 의대 김동구 교수는 “프리컨디셔닝은 지난 20년간 심혈관 분야에서 최고의 발견이라는 평가를 받고 ... ...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는 최저 농도가 어느 단계인지 측정한다. 후각인지검사는 친숙한 냄새를 맡으며 어떤
물질
의 냄새인지알아맞혀야 하는데, 전체 냄새의 80% 이상 맞히면 정상이다.비염이나 축농증의 경우 냄새분자가 후각점막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후각이 떨어지지만, 코 안의 염증을 치료하거나 수술을 받으면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라고 오해했다. ‘성기’라는 말에 쓰인 ‘기’가 유학자들이 생각해왔던 기와 다른 ‘
물질
’이라는 사실을 알려줄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순전히 책으로만 지식을 접했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17세기 초부터 중국에 진출한 예수회 선교사와 중국인 학자가 협력해 번역한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향기는 메시지를 싣고“음~, 부드러운 향기. 나를 부르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어디 한번 가 볼까?”수컷 나방이 향기에 끌려 날아들 ... 식물이 해충이나 박테리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내보내는
물질
이다. 이 천연
물질
은 인간의 면역력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돕는다 ...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무지개를 알려 주마“빛은 똑바로 나아가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질이 다른
물질
을 만나면 반사되거나 꺾이지요. 이런 성질이 무지개를 만드는 겁니다.”빛이 꺾이는 것을‘굴절’이라고 한다. 공기 중에서 직진하던 빛이 물방울을 만났을 때에도 굴절이 일어난다. 원래 햇빛은 모든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DN아제가 있고, 동시에 이 효소에만 특이하게 결합하여 그 활성을 잃게 하는 단백질
물질
이 함유되어 있다 디옥시리보핵산(DNA)을 구성하는 뉴클레오시드의 총칭 디옥시리보오스와 푸린 또는 피리미딘 염기로 이루어진다중요한 것은 디옥시아데노신·디옥시구아노신·디옥시시티딘·티미딘(또는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원자핵들이 핵융합하면서 중성자를 대량 방출하기 때문에 300초 이상 운전할 경우 주변
물질
들의 방사화가 일어난다. 무엇보다도 핵융합 기초 연구가 목적인 KSTAR로서는 300초로 충분하다. 2015년 프랑스 키다라쉬에 실제 핵융합발전로를 건설할 계획인 국제핵융합로(ITER)가 목표로 하는 운전 지속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변한 뒤 가스관 내벽에 달라붙었기 때문이다. 러시아 과학자들은 가스의 흐름이 느려 이
물질
이 가스관에 쌓여 막힌다고 생각했고, 가스가 더 빨리 흐를 수 있도록 압력을 높였다. 하지만 그럴수록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더 많이 만들어졌고 가스관 폭발도 잦았다.KAIST 에너지및환경시스템 연구실의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년 투자업계에 입문해 한국 최초로 바이오전문펀드를 만들고, 2002년부터 항암제 신약후보
물질
을 5개나 개발한 미국 렉산파마슈티칼스사의 재무를 총괄하는 자리에 오른 원동력이다.정 부사장은 “탄탄한 우량주가 된 포스텍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블루칩 인재’가 많이 나오기를 ... ...
건강한 온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측정한다.김 박사는 현재 기존의 고정점(온도 기준)이 안정한지를 점검하고 새로운
물질
의 특정온도로 고정점을 삼을 수 있는지 탐색하고 있다. 또 온도표준의 오차(불확도)를 1μK(마이크로켈빈, 1μK=${10}^{-6}$K)까지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의료현장에서는 1℃ 차이라도 큰 위험을 가져올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