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직인 선분으로만 이뤄져 있어요. 사실 4차원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도형이니까 우리
눈
에는 보이지 않죠. 영화에선 4차원 초입방체가 현실세계에서 만들어졌다고 가정하고 진행돼요. 이 영화에는 캐나다 수학자 데이비드 프라비카가 참여했어요. 그는 4차원 초입방체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줬는데,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반사된다. 이렇게 비눗방울은 막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서 빛을 반사시킨다. 이때 우리
눈
은 합성된 빛을 보게 된다. 즉 막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고 이에 따라 합성되는 빛도 달라져 다양한 색의 빛, 즉 무지개 색의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상품 또는 상품을 포장하는 상자에 기본적인 상품 정보부터 원산지까지 많은 정보를 한
눈
에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자태그(RFID)를 붙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전자태그는 IC칩에 정보를 넣어 무선으로 정보를 읽어내는 기술이다.그런데 전자태그에 담긴 정보가 해킹*으로 조작되면 어떻게 될까?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거죠. 그러면 무게는 무엇일까요? 부피나 들이가
눈
으로 비교되는 것과는 달리 무게는
눈
으로 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큰 컵에 담긴 우유는 많고 작은 컵에 담긴 우유는 적습니다. 이것은 보기만 해도 알 수 있지요. 그렇지만 똑같은 크기의 공 2개가 있을 때, 부피는 같더라도 무게는 다를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발생한 것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
눈
용오름’이라 부른다. 육지에서 발생하는 용오름도 있다. 육지용오름(landspout)은 지표면과 공중에 있는 공기의 온도차로 생긴다. 대부분 15분 안에 소멸하며 강력한 것은 토네이도의 F3 등급에 해당할 만큼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문서 안에 또 다른 문서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몇 개의 조건만 설정하면 사용자의
눈
에 띄지 않고도 저절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해커는 호스팅 회사에 방문한 PC들이 공격하려고 하는 사이트를 브라우저에서 여러 번 불러오도록 인라인프레임을 설계한다.호스팅 회사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태백산맥을 낮은 구릉으로 표현한 수치예보모델에서는 산 정상 부근의 넓은 영역에 약한
눈
이 올 것으로 예측해 영동지역에 내린 폭설을 예측하지 못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집중호우 같은 작은 규모 기상현상은 꼭 해상도가 높은 수치예보모델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km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루로 늘렸다. 개선된 실험을 수행하면서 결국 상록수와 낙엽수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눈
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결론을 내고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녹말/포도당 재실험 결론 - 상록수가 아닌 잎에서는 베네딕트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상록수에서는 베네딕트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1이 나타나지 않는 것들의 평균값을 기약분수 n/m으로 표현했을 때 m+n을 1000으로 나
눈
나머지를 구하여라. (5점) 이 문제는 조합으로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다. 단, 전체 수의 개수를 셀 때 000을 포함한 경우를 제외하는 것을 놓쳐서 틀리기 쉬운 문제다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머리를 내밀고 풀잎이나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 주머니처럼 완벽하게 틈 없이 만들어
눈
이나 비가 와도 습기가 안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아주 질겨서 천적인 새가 부리로 쪼아도 끄떡없다. 주변의 환경과 잘 어울려 위장 효과도 있다. 사람이 해체하려고 잡아당겨도 절대 끊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