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전송한 뒤 이를 다시 재생하는 기술이다. 사진기로 정원에 있는 꽃을 찍어 그 향기와
주변
새소리를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 보내 실제 정원에 있는 것 같은 경험을 하게 한다는 것이다.소리와 그림 형태로 제한돼 있던데서 벗어나 후각과 촉각, 미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하는 해마나 대뇌피질 같은 곳에 과다하게 쌓인 것이다. 축적된 베타아밀로이드는
주변
의 세포들에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신경세포가 손상되고 점점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신경회로망마저 훼손되기에 이른다. 게다가 축적된 베타아밀로이드는 신경세포를 죽이는 신호 체계를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는데 강도가 단단하고 균열이 발달하지 않아 터널 굴착에 유리한 조건이다. 이키해협
주변
역시 지표부의 약 90%가 화산이 폭발해 생성된 현무암과 용암으로 덮여있어 지반이 비교적 단단한 편이다.문제는 대한해협이다. 대한해협의 경우 40km 가량의 구간에서 두께 4백m 정도의 지층이 아직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주변
은 뿌리에서 공급되는 양분과 안락한 서식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뿌리
주변
에서는 좋은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미생물간에 치열한 싸움이 벌어진다. 그 결과에 따라 식물 생육에 중요한 결과를 미치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뿌리에 잘 정착하느냐는 생물농약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런데 위에 암세포가 자라고 있다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위
주변
의 자기장을 측정하면 암세포가 있는 부위를 알아낼 수 있다.인체 전류가 만드는 건강지도 미래 진단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체자기장은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바탕으로 만든 건강지도인 셈이다.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진두지휘하고 있다.이 박사는 모시로 유명한 충남 서천군 한산면에서 1952년 태어났다.
주변
에 금강을 비롯해 수려한 경치가 많아 어린 시절 맘껏 자연을 즐기며 보냈다. 라디오 어린이 연속극에서 연구원이 악당을 물리치고 세상을 구하는 장면을 듣고 연구원이 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막상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응력이 방출된다. 지진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지각이 재배치되면서 지진이 발생한
주변
의 일부 지각에 변형이 일어난다. 이렇게 변형이 생긴 지각이 깨지며 응력을 해소하는 과정이 여진으로 나타난다.결국 뒤틀린 지각이 깨지며 재배치되는 과정이 한번에 끝나지 않기 때문에 큰 지진에는 거의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패로 생긴 가스가 폭발한 것이었다.불견들이 겪는 고통도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입
주변
피부조직의 손상과, 소화기능 상실로 시름시름 앓는 개들이 늘어날 것이며, 짖을 때마다 뿜어지는 불의 열기로 인한 화상으로 일그러진 개의 입은 안쓰러워서 바라볼 수가 없을 정도일 게다. 열기로 인해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별자리는 아닌 것이다.독수리성운은 이 에타별에서 약 10도 남쪽에 위치해 있다. 성운의
주변
에 밝은 기준 별이 없어 다소 찾기 어렵다. 또 뱀자리 형상도 초보자들에게는 눈에 익지 않아 별자리를 기준으로 찾아가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성운이 밝은 만큼 쌍안경으로 은하수를 따라 훑어내려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수성궤도를 적용해보면 이런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태양에 의해
주변
시공간이 휘어지면서 수성이 이에 영향을 받아 생겨난 자연스런 현상이었던 것이다.현상3 중력 적색편이 일반상대성이론의 세번째 증거는 빛이 중력에서 벗어나면서 에너지를 점점 잃게 되는 현상이다. 그렇게 되면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