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사용자의 감정을 인식해 펜촉의 굵기와 색상 등이 변한다. 예를 들어, 이 펜으로 계약서에 사인을 한다면 자신이 망설였는지, 확신에 차있었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스마트 펜을 만드는 회사인 미국 라이브스크라이브사는 2012년에 ‘오디오 잉크’라는 개념을 특허로 등록했다. 펜 안에 작은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뿜어내는 증폭기를 개발했어요.적혈구가 피를 타고 흐르면서 산소를 옮기는 모습을 보고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알아낸 과학자도 있답니다.앗, 우리 재미가 생체모방 기술에 대해 공부를 정말 많이 했구나!킥킥, 그럼 이번 마술 대결은 저의 승리인가요? 그래! 나도 더 뛰어난 ...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소비가 30~50% 정도 줄어들며 종이생산과 관련한 대기오염을 95% 가까이 줄일 수 있다.매년 약 100만 그루의 나무를 낭비하게 되는 고3들의 마음도 편치 않고 지구의 나무들도 편치 않다. 환경문제는 단편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가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세상에 모든 일 중에서 단 하나라도 독일에 뒤쳐지고 싶지 않았던 프랑스로서는 매우 약이 오르는 일이었을 거야. 물론 프랑스에는 마리-피에르 퀴리가 있었어. 1898년 폴로늄을 발견하는가 하면 1902년에는 라듐을 발견하고, 그 공로로 1903년 노벨 화학상을 받기도 해. 하지만 프랑스 과학자는 ...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일시적인 것으로, 밴 앨런 대 탐사선은 발사 6일 뒤에 이 지역을 처음 발견했으며, 약 한 달 뒤 사라졌다. 연구팀은 8월31일 발생한 태양의 거대한 프로미넌스(홍염)가 강한 충격파를 발생시켜서 입자를 방출한 것이 발생 원인이라고 추정했다.밴 앨런 대는 강한 에너지와 하전입자로 인공위성에 ...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어떤 여정을 거쳤을까. 큐리오시티의 착륙 장소는 게일 크레이터 안의 샤프 산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이었다. 먼저 스스로 상태를 점검한 뒤 며칠 동안 지구에서 보내 주는 신호를 받아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했다.8월 19일에는 처음으로 레이저를 시험했다. 여기에 사용한 장비가 켐캠(ChemCam)이다.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높았습니다. 작은 종일수록 입 크기도 작아서 음이 사방으로 퍼져 레이더 기능이 약해집니다. 그래서 대신 주파수를 높여서 음 에너지를 집중하는 거죠. 또 동굴과 같은 닫힌 곳에 있을 때가 숲 같은 열린 곳에 있을 때보다 주파수가 높습니다. 동굴은 어두워서 오로지 초음파에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지상에서는 중력 때문에 불가능한 물질이나 단백질체를 만들 수 있다. 새로운 소재나 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운딩 로켓을 이용한 미세중력 실험은 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지만, 사람이 탑승하지 않아 안전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사운딩 로켓으로 검증한다사운딩 로켓이 쓰인 건 194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연구자가 공개했다. 정확하게 어떤 물체인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구글 어스의 활약은 지구를 넘어 우주 행성까지 종횡무진이다. 실제로 메인 빌딩에 있는 체험 공간에서도 지구와 달, 화성, 태양계까지 생생하게 이미지로 볼 수 있다. 구글 어스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 ...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증폭시켰다. 이를 X-선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 진폭이 약 4배 증가했다. 이 운동을 통해 저전력 고효율 정보신호 발생의 길이 열린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