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지키자!나는 사람들이 잔뜩 몰려 있는 강당으로 파고들어가 보았다. 그 곳 단상에는
미국
의 부통령을 지내기도 했던 환경운동가 앨 고어가 서 있었다. 이번 연례총회의 주제가 기후변화이기 때문에 직접 연설을 하러 온 것이다. “과학이 잘못하면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가 일어나요. 실제로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05
연구위원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기계과에서 자동차안전기술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자동차회사에 잠시 근무하다 교통안전공단으로 자리를 옮겼다. 국토해양부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안전기준을 제정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05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 구축사업 책임자인 이종민 석좌교수의 설명이다. 펨토과학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아흐메드 즈웨일 교수가 이 같은 펨토 초 레이저로 요오드화나트륨이 요오드와 나트륨으로 갈라 지는 순간을 찍어 1999년 노벨화학상을 받자 각광받기 시 작했다. 또 초고출력 레이저는 200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05
생성된다”고 설명했다.연구단은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가 실제로 가능한 지에 대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연구를 했다. 연구단이 구상한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는 몸속에서 음식물을 소화할 때 철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페리틴’ 단백질을 이용했다.포도당의 산화와 산소의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05
열린다는 얘기다.이는 박 교수 자신의 일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는 석사 과정을 밟은
미국
브라운대에 당초 초전도체를 연구하려고 진학했다. 하지만 생각만큼 재미가 없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광자 연구였다.박 교수가 느끼는 ‘재미’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최근 자신의 연구 분야에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05
태평양의 특정 수심에서 터뜨린 폭뢰가 3,680km 떨어진 곳에서도 들리고, 인도양에서
미국
군함이 발생시킨 소리가 오리건 해안에서도 탐지됐다. 이렇게 특정 수심에 존재하는 소리의 통로를 음향 채널, 소파(sofar: sound fixing and ranging)층이라고 부른다. - 해양학의 이해, 시그마 프레스, Tom Garrison 1)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05
동물행동학자인 제인 구달과 함께 ‘동물에 대한 윤리적 대우를 위한 모임’을 설립한
미국
콜로라도대 마크 베코프 교수에 따르면 동물도 사람과 별로 다르지 않은 행복감을 느낀다.베코프 교수는 이 같은 분석을 담은 자신의 저서 ‘동물의 감정’에서 “동물은 놀이를 하거나 친구를 만날 때,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05
교수팀은 햄스터에 나노발전기 4개를 넣은 특수 재킷을 입히고 발전량을 측정했다고
미국
화학회 저널인 ‘나노 레터’ 3월호에 발표했다. 측정 결과 햄스터가 쳇바퀴를 돌릴 때마다 나노발전기가 작동해 0.1~0.15V의 전기가 나왔다. 발전량이 너무 적어 햄스터 1000마리를 모아야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05
깊이 자야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해부학 신경과학교실과 위스콘신대 의대 정신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잠을 푹 자면 뇌가 사소한 기억을 스스로 없애 다음날 새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과 ... ...
[생물리학]새와 곤충, 같은 공중회전 메커니즘 쓴다
과학동아
l
200905
곤충이 공중에 정지해 있거나 천천히 날 때 몸을 회전시키는 비행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생물학과 타이슨 헤드릭 교수팀은 새나 곤충이 갑작스러운 바람이나 실수로 몸이 돌아갔을 때 원래대로 방향을 되돌리는 방식을 연구했다. 예를 들어 몸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갔을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