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전달
"(으)로 총 4,87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몸속 장기를 인공으로 만든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03
조직 특징에 따른 세포 종류와 세포간 구성 모사,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 내부로의 물질
전달
등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3차원 세포 프린팅 기술은 조직공학의 3요소를 완벽히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3D 프린터는 정교한 제작기법, 저렴한 제작비용, ... ...
뇌에서 면역반응 안 일어나는 이유
2014.12.01
경화증을 앓는 쥐에게 Del-1을 투여하자 증상이 호전됐다. 최 교수는 “신경신호가 제대로
전달
되도록 돕는 절연체인 수초가 면역세포로부터 공격받지 않도록 Del-1이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신경염증과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야생 박 게놈에서 항암 유전자 있다
2014.11.30
유전자그룹을 발견했다. 이들 유전자는 물질의 산화를 일으키는 효소와 아실(acyl)기를
전달
해 주는 효소 등을 만드는 것으로 1, 3, 6번 염색체에 총 9개가 존재했다. 여기에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 BI와 BT도 추가로 찾아냈다. 또 이들 유전자가 만드는 물질을 분석한 ... ...
커피, 잔 색깔에 따라 맛 달라진다…‘쓴맛 줄이려면?’
동아닷컴
l
2014.11.28
인식하고 있는 맛과 색깔의 연관성 때문이다. 연구팀은 "커피의 짙은 갈색이 시각적으로
전달
됐을 때 뇌는 이것을 '쓴 맛'이라고 인식하게 되는데, 흰색 잔에 담을 경우 그 색이 도드라져 더 쓰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파란색 잔은 갈색의 농도를 완화시켜 덜 쓰게 느껴진다"고 ... ...
강철보다 튼튼한 ‘방탄 그래핀’
2014.11.28
2배 이상 튼튼했다. 그래핀이 유리탄환의 운동에너지를 초속 22km의 빠른 속도로
전달
하면서 유리탄환의 에너지가 순식간에 그래핀 전체에 골고루 분산됐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그래핀이 에너지를 흡수하는 속도는 현존하는 소재 가운데 가장 빠르다”면서 “그래핀을 100만 장 겹치면 두께가 0.3mm ... ...
동북아發 질소 오염물질이 북태평양 교란
2014.11.28
동해가 가장 높았고 북미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대기를 통해
전달
된 질소 오염물질이 해양에 유입됐다는 분석이 가능한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동북아시아 지역의 대기 속 질소 오염물질은 편서풍을 타고 북태평양 전 해역에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된다. 질소 ... ...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예다. 환자 피부 속에 삽입된 센서로 혈당 수준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
해 환자의 혈당치가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환자와 의사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준다. 필립스조명에서 선보인 ‘휴 전구’는 스마트·커넥티드 제품의 ‘제어’ 기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스마트폰으로 ... ...
100배 빠른 인터넷 기간망 국산화 기술 개발
2014.11.26
예정이다. 정현규 ETRI 통신인터넷연구소장은 “중소 장비업체와 협업해 가입자망부터
전달
망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향후 국내 관련업체들에게 1000억 원 이상의 신규 매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사실을 입증했다. 1998년에는 피부암을 활성화시키는 신호
전달
계인 ‘Wnt 신호
전달
계’를 발견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현미경사진과 세포실험으로 피부세포의 역동성이 드러났다. 와트 박사는 “유전체학의 발달로 쥐에서 피부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막을 수도 있다”며 “앞으로 어떤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거리는 90cm다. 맨 뒤에 있는 볼록렌즈가 뒤쪽 배경이 되는 모눈종이의 시각정보를 앞으로
전달
한다. 최 연구원은 “맨 뒤의 볼록렌즈와 바로 앞 볼록렌즈 사이의 중심부에 모눈종이의 상이 맺히도록 렌즈 4개의 배율과 간격을 조정하는 게 핵심”이라며 “상이 맺히는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는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