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진정한 미래 과
학자
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문제풀이형 경시대회보다는 다양한 과
학자
의 자질을 평가하는 대회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인 최초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발굴할 수 있지 않을까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등을 활용하기 시작했다.1977년 미국의 심해잠수정 앨빈호에 탑승한 지질
학자
가 남태평양의 갈라파고스제도 주변에서 지질조사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수심 2천6백m의 해저에 지구내부로부터 막 생겨 나온 신선한 용암이 깔려 있었고, 곳곳에 거대한 조개껍질이 산을 이루고 있었으며 거대한 관에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
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자연 속에는 아직 우리가 풀지 못한 많은 문제들이 존재하기에 하루가 즐거운 과
학자
.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도 충분히 인생을 재미있게 살 수 있다고 믿는 그. 조교수의 희망처럼 그의 다차원 진동분광학 이론에 의해 생체내에서 기능하는 단백질 분자의 구조변화가 영화처럼 펼쳐질 날을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아무 생각 없는 듯 단순해 보이기만 하는 동물들이 실제로는 수많은 속임수와 사람못지 않은 복잡한 사회관계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낚 ... 결정적 차이가 인간을 동물과 구별짓는 점이다.뇌과학이나 행동생태학 분야의 많은 과
학자
는 동물언어를 연구해 이 과제를 풀려고 노력중이다 ... ...
긴급진단, 안락사 논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살인과 다를 바 없다는 점 이외에도 남용의 우려를 들 수 있다. 신경생리
학자
와 심리
학자
들에 의하면 통증이나 정신적인 고통을 느끼는 정도는 상대적이며 누구에게나 적용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통증 지수란 있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질병 때문에 가족과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데 대한 ... ...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기뻐할 일은 자신의 발명이 또 한번 수많은 사람들의 새로운 직업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학자
들은 콘크리트의 수명이 1백50-2백년이라는 것을 알자마자 고층건물을 철근콘크리트로 건설하는 것을 반대했다. 고층건물을 해체하는 것이 건설하는 것보다 더 어렵고 예산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그러나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설을 제기하지만 직접 가서 봐야 물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떤
학자
는 태고에 화성이 우리보다 멀리 있고, 지구 중력의 절반 이하이기 때문에 지구인과 비슷한 생활을 하는 화성 생물체가 먼저 존재하다가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문화유적이 사막 밑에 깔려 있을 ... ...
고대문헌 판독에 우주기술 쓰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동안
학자
들은 화산 폭발로 매몰된 곳에서 발견된 그을린 파피루스 고대문헌을 판독하는데 수주 또는 수개월이 걸렸다. 물론 그 문헌이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그을리지 않았다면. 하지만 이제 더 이상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NASA의 광영상 기술을 사용할 경우 그을린 고대문헌을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측정하기 위해 용암 속으로 뛰어든다. 녹아 없어지기 직전에 송신한 온도를 토대로 화산
학자
들은 용암의 초기온도, 냉각속도 등을 결정하고, 용암이 덮을 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물론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체르노빌과 같은 원전사고나 생화학 오염지역이 발생할 때, 오염정도와 범위를 ... ...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많이 생겨야 합니다. 이런 잡지들이 많이 생길 때 과학대중화는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과
학자
들은 이런 책을 보고 일반인들이 무엇을 궁금해하고 바라는 가를 알 수 있고, 일반인들은 과학을 한층 더 잘 이해할 수 있죠. 또한‘Science Bookstart 운동’의 내용을 충실히 하기 위해선 과학대중잡지의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