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태
양
프로젝트 ITER, 한국 과학자가 이끈다
2015.11.27
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무차장은 ‘한국형 인공태
양
’으로 불리는 핵융합실험로인 ‘KSTAR’의 설계부터 2008년 완공까지 지휘한 인물인 만큼 최고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 KSTAR 기술력, ITER가 인정 KSTAR의 진공용기 내부의 모습. KSTAR에서 생성되는 최대 자기장의 세기는 ... ...
복돼지가 활짝 웃고있네요~ 대식세포 속에서
2015.11.27
모습을 보고 있자니 절로 복이 들어올 것 같다. 대식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고 다
양
한 세포소기관을 염색했더니 영락없는 돼지 얼굴이 나타났다. -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제공 복돼지 한 마리가 순박한 웃음을 짓고 있다. 맛난 음식이라도 배불리 먹고 난 걸까. 병원균을 잡아먹는 대식세포를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팀은 같은 촉매를 쓰면서 촉매 주위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양
을 변화시키며 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했다. 이때는 촉매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탄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반응 전자 수가 높게 나타났다. 탄소 전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탄소 입자로 이뤄진 ... ...
2009년 이후 멈춰있던 한·일 과학기술협력 재시동
2015.11.25
양
기관 간 ‘연구협력
양
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최 장관은 “이번 방일에서의 논의가
양
국의 공통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해 국가 간 과학기술 협력의 모범 사례를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한일 간 과학기술 및 ICT분야의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
2015.11.25
증가했다. 연구팀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조작해 전기를 만드는
양
을 늘려 최대 6배 더 많은 전기를 얻는 데 성공했다. 오 교수는 “생체 친화적인 것은 물론 대량생산도 쉽다”며 “생체이식 소자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세대 소자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슬퍼하지 마세요~ 2015년 하얀 첫눈이 온다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5.11.24
주시하며 비나 눈이 올 경우 정확히 판단해 비인지, 눈인지 결정하는 것이지요. 이 때
양
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쌓이지 않아도 육안으로 눈발이 흩날리는 것을 본다면 눈으로 인정합니다. 다만 눈이 매우 일부지역에서만 내릴 경우 같은 서울이라도 첫눈이 내리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의 DNA 밝혀졌다
2015.11.24
일어났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동물이 외부 유전체를 1% 정도 지니는 것에 비해 막대한
양
이다. 또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이 물곰 세포의 특이한 구조에서 기인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 물곰의 DNA는 작은 조각으로 깨진다. 세포에 다시 수분이 공급되기 시작할 때 세포막과 ... ...
‘초대칭이론’으로 설계한 新 물질 나올까
2015.11.24
원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설계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레이저나 반도체, 태
양
전지 분야에서 고성능 신소재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1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신나는 공부]“취업 스펙 쌓느라 수능 후 더 바빠요”
동아일보
l
2015.11.24
끝내고 집에 돌아오자마자 토익대비 학원에 전화를 걸어 상담한 뒤 다음날 등록했다. 윤
양
은 “중국한어수평고시(HSK) 5급 시험도 준비 중”이라면서 “2학년 때 대학에서 진행하는 해외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이 목표인데 지금의 노력이 결국 목표를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효과 좋은 신경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 나온다
2015.11.22
이용해 초기 분화를 활성화하고, 여기에 화합물을 이용해 신경세포 분화를 유도했다.
양
연구팀의 분화기술을 접목한 결과 보다 효율적인 분화 기술이 탄생했다. 김 교수는 “척추 손상이나 관절염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해 끊어진 신경이 자라나게 하는 방식의 치료가 가능하다”며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