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45억 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태양은 자기 수명의 약 절반 정도를 산 것이다. 요즘
한국
인의 나이로 치면 약 40세 정도라고 할까.한스 베테가 중력과 양자역학을 바탕으로 이 모든 것을 알아냈을 때 그는 사람의 눈에 보이는 모든 빛의 근원을 밝힌 것이다. 바로 지금 창밖을 보라. 밝은 햇살이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보물창고를 봤을 때 가장 빛나는 건 화학이야. 그걸 잘 다듬어야지.”화학을 좋아하고
한국
중학생 화학대회에도 참여한 K학생이지만 화학에 관련된 책은 별로 읽어본 적이 없다. 왜 화학을 공부하는지를 알아야 목표가 정확하게 생겨서 공부를 오래 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이런 K학생에게 상담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사다 쇼이치로(미쯔비시 중공업 항공우주사업본부 우주사업부장)를 만났다. 아사다 부장은 내가 존경하는 일본 최고의 로켓 공학자 가운 ... 선물’이라는 말이 자꾸 머릿속에 맴돌았다. 실패하면서 더 강해진 일본의 우주과학처럼
한국
의 우주과학도 실패를 통해 더 발전하길 기원한다. ... ...
중국의 생태사진가 '왕창 찍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 기대된다, 기대돼~. 올해는 어떤 사진들이 있을까?”썰렁홈즈가 아침부터 분주하게 옷을 입고 있다. 중국 최고의 생태 사진작가 ‘왕창찍땅’의 개인 사진전에 초대받았기 때문이다.“큭큭, 지난번에는 남극 펭귄이 빙하 아래로 똥 싸는 장면을 리얼하게 찍어서 지구 온난화를 표현했지.”썰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최초의 큐브샛과 진화하는 우주실험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한국
항공대 연구진과 학생들이 10cm, 1kg 이하 무게의 큐브샛 ‘한누리 1호’ 개발에 처음 도전했다. 한누리 1호는 지난 2006년 7월 27일 러시아 로켓에 실려 발사됐지만 발사체 실패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지금은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동네 국회의원, 클릭 한번으로지난 1월 민주통합당 당대표를 뽑는 경선에
한국
정당 사상 최대 규모의 유권자(80만 명)가 참여했다. 비결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투표였다. 복잡한 등록절차를 거치거나 현장투표소에 갈 필요가 없어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대거 이끌어냈다. 야당은 이번 4·11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물씬 나는 거리를 만들었다. 여기에 트로트 음악을 틀고 만화영화를 상영해 근대의
한국
모습을 그대로 재연했다.서울대 캠퍼스 장기계획도 연구실의 작품이다. 보존해야 할 건축물과 숲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도 적었다.“학교는 학생문화관과 인문관 주변의 건물을 새로 짓자고 했어요. 그런데 ... ...
경험하라. 학교가 기회를 줄 테니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반을 둔 유네스코 이념과 철학을 학교 현장에 접목했다. 유네스코와 유네스코
한국
위원회에서 하는 다양한 행사에 참여한다. 또한 유네스코에서 섭외해준 외국인으로부터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CCAP)’도 운영한다. 동아리 ‘유네스코반’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공교롭게도 하나는 일본 유명 로켓 공학자를 인터뷰한 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을 인터뷰했습니다.Do!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에 대한 참여 열의가 뜨겁습니다. 과학에 대한 여러분들의 관심과 기사 쓰기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 ...
한국
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예정이고, 차세대 소형위성도 개발될 것입니다.
한국
형 발사체가 개발되면 2020년 이후
한국
형 발사체를 이용해 달 탐사가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Q. 인공위성들이 충돌하지 않기 위한 시스템이 있나요? 충돌한 사고는 없었나요?지금까지 6000여개의 인공위성이 발사됐어요. 정지궤도 자리는 한정돼있기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