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과학동아 l1988년 03호
- 발전시키려는 인간 요구에 기초한 싸움의 역사이다. '시계발달사'로의 여행을 시작해보자.●-그림자로 재는 태양의 시간모든 과학의 역사가 그러했듯이, 시계의 발명도 일하는 자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진행돼왔다. 그러나 계절의 달력이 이 필요를 직접적으로 충족시키는 소박하고 느슨한 ...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인류진화의 또다른 계통을 그려야 한다. 이 관점에서 인류진화의 과정을 한번 더듬어 보자(앞면도표참조). 약 5백만년전 고대인류는 침팬지의 조상으로부터 갈라져나와 또다른 진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3백50만년전에서 2백50만년사이에는 원숭이와 인간의 중간형태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소식이다.이탈리아 자동차디자인회사의 하나인 에우로디자인(Euro Design)을 예로 들어 보자. 이 디자인회사는 4개의 부문, 즉, 2개의 디자인실과 모델실, 엔지니어링부서로 구성돼 있다. 디자인실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 각각 하나씩 있고, 엔지니어링부문엔 25명의 디자이너가 일하고 있는데 이들은 ... ...
- 한국형 모델 개발을 계기로 살펴본 전자식 도로교통 관제시스팀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모델을 중심으로 교통관제시스팀의 효과를 분석해보자. 기대효과로 가장 중요한 것이 여행시간 단축이다. 대구모델의 경우 35%정도 단축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행속도 또한 30% 를 개선시킬 예정이며 정지중 대기시간도 40%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 ...
- 가솔린 바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바다를 찾는다고 상상해 보자! 실제로 그런것이 있을 수도 있다. 어느 두곳에 그것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물론 지상에 있는것은 아니다. 태양계에는 7개의 큰 위성이 있는데, 달은 그중의 하나이다. 달은 아주 작은 데다가 (직경 2, 16마일) 중력이 너무 약해서 대기층을 가질 수 없다. 이것은, ... ...
- 동맥경화증에 시달리는 도시교통/하나의 치료법 궤도버스(오·반시스팀)의 도입과학동아 l1988년 02호
- 할 것이다. 참고로 호주의 아델라이드시에서 오반시스팀을 도입하게 된 배경을 소개해보자. 우선 자가용 보유율이 2사람 당 1대의 비율로 매우 높았으며, 따라서 환경보전 및 에너지 보전과 관련하여 무제한적인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 ...
- C언어강좌 ⑤ 단순한 언어, 다양한 응용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작성된 프로그램을 보면 첫문장이# include # include 와 같이 작성된 경우가 많다. 이렇듯 초보자에게는 아주 생소한 사용법을 배워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파일의 개념과 함수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있다면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한다.그렇다면 과연 stdio.h라는 내용은 어떻게 되어 ...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발견 가능성은 얼마만큼 있는가. 태양계 안에 멀리 있는 작은 천체를 계통적으로 좇아가보자. 명왕성보다 훨씬 먼 별이라고 하면 상당히 어둡다. 큰 망원경을 사용하면 상당히 어두운 별 까지도 보인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보이는 범위가 극히 좁다. 광각의 슈미트 카메라는 그 점을 보충하여 ...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비싸고 무거우며 다시 방전되고 만다. 게다가 수명도 아주 짧다. 자동차의 배터리를 살펴보자. 두꺼운 자동차 배터리에는 최소한 1킬로와트시(kwh)의 전력이 축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균적으로 서독사람 1인당 연간 5만킬로와트시의 1차에너지가 소비되고 마는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로 부터는 ... ...
-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다음 원반화면 90-94의 거북자랑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늘품의 낱말짓기에 대해 소개해보자. 사전에 낱말들이 하나하나 그 뜻과 함께 올려지듯 늘품에서도 낱말들이 그 이름과 그 낱말이 하는 내용이 들어간다. 낱말을 지으면 이미 있던 낱말 위에 올라가면서 늘품의 사전은 계속 늘어나게 된다. ... ...
이전446447448449450451452453454 다음